부산·경남 레미콘 운송 노조의 파업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노사의 ‘강 대 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다. 민주노총 소속 부산·경남(김해·양산·진해) 레미콘지입차주 60개사 1500명은 지난 14일부터 총파업 중이다.
사측인 부산경남레미콘산업발전협의회(레미콘협회)는 20일 운송노동자 중 자차를 제외한 지입차주 1300여 명에게 계약 해지를 통보한 데 이어 협회 소속 레미콘 제조사 50곳이 관할 고용복지센터에 휴업계를 제출했다고 21일 밝혔다.
지입차 형태로 일하는 레미콘 운송노동자들에게 계약해지 통보는 사실상 해고를 의미한다. 지입차는 개인 소유의 레미콘 차량을 레미콘 제조회사 명의로 등록해 일하는 형태를 말한다.
레미콘 차량 1회 운송단가는 지역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부산·경남은 평균 4만200원이다. 여기에 노조는 일괄 5만원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레미콘 운송노동자들은 보험료와 차량 감가 삼각비 등 지입차 차량 유지비 지출로 인해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하소연한다.
반면, 레미콘협회는 2000원 이상 인상은 수용할 수 없다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레미콘협회는 이날 호소문을 통해 “지역과 회사 사정에 따라 상이한 레미콘 운반비를 단체협약으로 계약 체결을 요구하고 있는데 이는 명백한 불법행위”라고 밝혔다. 이어 “민주노총 지도부의 급여인상 및 처우개선 비용을 발전기금이라는 명목으로 업체당 월 50만원씩 연간 4억원 가량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도급 계약자가 요구할 수 없는 만근수당, 명절수당 등도 불법적으로 요구하고 있다”고 했다.
양측이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채 갈등이 커지는 가운데, 부산지역 주요 공사 현장에서는 레미콘 공급이 완전히 끊어지면서 건축 공사 진행에 난항을 겪고 있다.
현재 부산 최대 규모의 공사인 강서구 에코델타시티 현장은 파업 이후 골조공사가 완전히 멈췄다. 공사 관계자들은 노출된 철근의 부식과 내구성 하락은 물론이고 공사 준공이 늦어지지는 않을지 우려하고 있다. 또 해운대구 센텀시티영화진흥위원회 신사옥 건립 현장과 만덕~센텀 대심도 터널 공사장도 비슷한 상황에 부닥쳐, 당분간 공사 차질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