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공중보건 시스템 허점을 절감한 중국이 각 지역에 코로나19 등 고위험 바이러스 연구를 전담하는 실험실을 설치하기로 했다.
21일 글로벌타임스 등에 따르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는 전날 이러한 내용을 담은 ‘공중보건 예방통제치료 능력 건설’ 방안을 발표했다.
발개위는 코로나19 발생으로 감염성 병원체를 검사할 능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따라 P3와 P2 실험실을 더 많이 갖추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방안에 따르면 34개 성(직할시·자치구)은 최소한 한 곳의 3등급 실험실을 갖춰야 하고, 293개 지(地)급 도시는 2등급 실험실을 1개 이상 운영해야 한다.
발개위는 또 지급보다 한단계 아래인 현급 병원들에 대해서는 전체 병상의 2~5%를 집중치료병동(ICU)으로 준비하도록 했다.
실험실의 생물안전 등급은 1~4등급(P1~P4)으로 구분되며, 코로나19를 비롯해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와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등은 3등급 시설에서 연구할 수 있다. 핵산은 이보다 낮은 2등급 실험실에서도 다룰 수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출 의혹이 제기된 우한바이러스연구소는 중국 내 유일한 생물안전 4급 실험실로 에볼라 바이러스 등 가장 치명적인 병균을 연구할 수 있는 곳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30일 코로나19가 중국 우한의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발원했다는 주장과 관련해 “나는 증거를 봤다”고 주장했고,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도 이후 인터뷰에서 코로나19가 우한 연구소에서 나왔다는 “거대한 증거가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중국 과기부는 지난 2월 중순 실험실에서 바이러스 연구 시 안전에 주의를 기울이라는 내용이 담긴 ‘신종 코로나 고위등급 미생물 실험실 생물 안전 관리 강화 지도 의견’을 발표했다고 밝혔고, 시진핑 국가주석도 “생물 안전을 국가안보에 넣으라”고 지시했다.
한편 코로나19 발원지인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는 전날 야생동물의 사냥과 거래, 식용을 금지한 야생동물 보호관리 규정을 발표했다.
식용 금지 대상인 야생동물과 관련 제품은 국가와 후베이성 보호 목록에 있는 모든 야생동물로 자연에 서식하는 야생동물뿐만 아니라 인공 번식한 야생동물도 포함된다.
코로나19가 발병했을 때 중국 내에서는 바이러스가 야생동물을 먹는 구시대적 식습관에서 비롯됐다며 야생동물 거래 및 식용금지 캠페인이 진행됐다.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가 지난 2월 말 야생동물의 거래와 소비를 금지한다고 발표한 뒤 각 지방정부는 이를 시행하는 조치를 잇달아 도입하고 있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