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미향, 적금 깨 2억 집 샀다더니… 통장에 3억 예치금”

입력 2020-05-20 17:49
정의기억연대(정의연) 이사장을 지낸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 연합뉴스

정의기억연대(정의연) 이사장을 지낸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이 지난 4·15 총선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예금 3억2133만원을 신고한 사실이 드러났다. 해당 금액에는 정의연 시절 개인계좌로 받은 기부금도 포함됐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20일 곽상도 미래통합당 의원이 입수해 공개한 윤 당선인의 4·15 총선 후보자 재산신고사항에 따르면, 윤 당선인은 총 3억3656만원의 예금을 신고했다. 윤 당선인 명의의 국민은행 계좌 예금이 3억2133만원, 미국 유학 중인 윤 당선인 장녀 명의의 시티은행 계좌 예금이 1523만원이었다.

공직자윤리법에 따르면 국회의원 후보자와 직계 가족은 합계액 1000만원 이상의 예금과 채무 등을 신고해야 한다. 다른 은행 계좌는 신고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윤 당선인 명의로 된 1000만원 이상 예금계좌는 국민은행 계좌가 유일한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계좌는 윤 당선인이 과거 정대협(정의연 전신) 대표와 정의연 이사장을 지낼 당시 페이스북 등을 통해 개인 명의로 기부금을 모금했을 때도 사용했던 것이다. 윤 당선인은 고(故) 김복동 할머니의 장례비, 길원옥 할머니의 유럽 방문 경비, 베트남 우물파기 사업 등을 명목으로 뒷자리 ‘402·302·784·978’인 국민은행 개인계좌 4개를 공개하고 기부금을 받았다.

만약 윤 당선인이 신고한 국민은행 예금(3억2133만원)에 정의연 기부금이 포함됐다면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 법인이 받아야 할 기부금을 개인계좌로 받아 이를 개인재산으로 선관위에 신고까지 했다면 횡령 혐의를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곽상도 의원은 “당장 국민은행 계좌가 기부금을 받은 계좌인지 대조부터 해봐야 한다”며 “그 돈을 다른 용도로 썼다면 당연히 사기·횡령”이라고 강조했다.

3억여원에 달하는 현금 보유도 의문을 낳는다. 윤 당선인 부부의 최근 5년치 납부 소득세는 643만원으로, 부부 합산 연소득은 약 5000만원으로 추정된다. 과거 부동산을 매입할 때마다 전액 현금으로 지불했던 이들이 3억원이 넘는 예금까지 보유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처 확인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윤 당선인이 2012년 수원의 한 아파트를 경매로 현금 2억2600만원에 구입한 것을 두고도 자금출처 논란이 제기된 바 있다. 윤 당선인은 처음엔 “살던 아파트를 팔아 구입했다”고 해명했지만, 매각 시기가 아파트 매입 9개월 전인 사실이 알려지자 “적금 등 통장 3개를 해지하고 가족에게 빌린 돈으로 샀다”고 입장을 번복했다.

곽 의원은 “국민은행 예금과 부동산 매입자금 출처를 다 해명해야 한다”며 “급여나 활동비가 큰 금액이 아닌데 그 돈으로 대출 없이 집 사고, 예금 3억원을 마련한다는 게 얼마나 비현실적인 일인지 월급쟁이라면 다 알지 않느냐”고 주장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