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이후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는 과학기반 복지국가의 모델을 지향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충남도는 20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양승조 충남도지사와 김용찬·이우성 부지사, 자문위원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포스트 코로나19 대응 자문위원회’ 위촉식과 첫 정기회의를 개최했다.
자문위는 이달 초부터 가동을 시작한 도의 ‘포스트 코로나19 대응추진단’ 활동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맡는다. 무역·노동 관련 기관장, 의학·공학·관광 관련 교수, 중소기업 및 시민·사회 단체장 등 33명으로 구성됐다.
코로나19 상황 종료 시까지 매달 한 차례 정기회의를 개최하고 필요할 경우 임시회의를 열기로 했다. 이들은 대응추진단 활동 자문을 비롯해 경제·산업·문화·관광·방역 등 정책 전반에 방향을 제시하게 된다.
이날 첫 회의는 도의 포스트 코로나19 대응 계획 보고로 시작됐다.
도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사회·문화 등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체 부서가 참여하는 대응추진단을 운영 중이라고 보고했다.
양 지사가 단장을 맡은 대응추진단은 김 부지사가 본부장인 경제산업대책본부, 이 부지사가 본부장을 맡은 생활방역대책본부로 나뉘었다.
실무반은 고용·노동 대책, 소상공기업 지원, 투자통상, 미래산업, 문화관광산업, 농축수산, 건설교통, 생활방역, 재난관리 등 13개 반으로 편성됐다.
보고에 이어 김원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장이 ‘코로나 이후의 산업과 경제’라는 주제로, 장덕진 서울대 교수가 ‘코로나19와 정치·사회의 변화’를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김 원장은 먼저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밸류체인의 분열과 재구성, 산업 전략 등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산업과 경제에 대한 전망, 대응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장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국제질서의 변화가 예상된다”며 “예산과 조직이 커지는 큰 정부가 아니라, 과학기술에 입각해 정부 기능이 커지는 과학기반 복지국가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승조 지사는 자문위와 도민의 고용안정과 일자리 창출, 새로운 산업 전략과 기업 유치 방안 등을 논의했다. 또 생활방역 측면에서 보건의료체계 강화, 비대면 활동 증가에 따른 사회문화 시스템 개선 등을 제시해 줄 것을 당부했다.
양 지사는 “새로운 변화에 우리가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충남 경제와 도민의 미래가 달라진다”며 “다시 시작한다는 마음으로 전 분야에서 변화를 모색하고, 더 좋은 공동체를 위해 한 마음 한 뜻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