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규제로 서울과 경기, 인천 일대 부동산 가격이 부풀었다가 꺼진 ‘풍선효과’가 부산에도 영향을 줬던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분기 서울 거주자의 부산 지역 아파트 구매는 201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부산 부동산 가격을 이끄는 ‘해수남(해운대구·수영구·남구)’ 아파트가 주 매입대상이 됐다.
20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서울 거주자들의 부산 아파트 매입은 357건으로 지난 2011년 이후 최대치로 조사됐다. 부산에서도 서울 거주자가 가장 많이 매입한 곳은 남구로 올해 상반기에 84가구를 사들였다. 해운대구가 67가구, 수영구가 34가구로 뒤를 이었다.
부산 내에서 서울 거주자 매입 비율이 높은 3곳은 해수남이고 불리며 최근 부산 부동산 시장 상승세를 이끌고 있다. 경제만랩이 KB부동산 리브온 주택가격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부산의 3.3㎡당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은 지난해 4월 1126만원에서 지난 4월 1146만원으로 1.77% 상승했다.
수영구는 지난해 4월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1571만원에서 1년 새 1877만원으로 19.46% 올랐다. 같은 기간 해운대구도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1372만원에서 1474만원으로 올라 전년 대비 7.45% 상승했다. 남구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1185만원에서 1250만원으로 5.45% 올랐다. 나머지 13개 자치구·군의 매매가는 하락했거나 상승 폭이 적었다.
해수남 지역은 2018년부터 차례로 규제지역에서 해제됐다. 같은 기간 수도권에서는 정부 부동산 규제의 반작용으로 ‘풍선효과’가 벌어졌다. 정부가 특정 지역을 규제하면 또 다른 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상승하는 풍선효과는 서울 강남에서 강북, 경기, 인천 등으로 번졌다. 마침 아파트 매매 조건이 개선된 부산에서도 같은 현상이 벌어진 것으로 보인다.
오대열 경제만랩 리서치팀장은 “‘해운대·수영구·남구’의 경우 부산에서도 주거 선호가 높은 지역이며 조정대상지역 해제에 따라 아파트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보이며 특히, 수영구는 남천2구역 재개발과 광안리 일대 정비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아파트 가격이 무섭게 치솟고 있다”고 말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