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요양·보호시설인 ‘나눔의 집’의 직원들이 후원금이 할머니들을 위해 사용되지 않고 있다고 폭로했다.
19일 방송된 MBC ‘PD수첩’에 나눔의 집의 직원들이 출연해 “내부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하려 했지만, 그때마다 돌아 온 것은 협박과 공격이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보도에 따르면 매월 6000여명의 후원자들이 ‘나눔의 집’에 2억원에 달하는 후원금을 기부한다. 2020년 4월까지 약 72억원에 후원금이 모였다.
하지만 2018년 나눔의 집 지출 내역을 살펴보면 국가 지원비 외에 의료비, 장례비 그리고 재활치료비 등에 단 한 푼도 쓰이지 않았다.
직원들이 열악한 환경을 해결하기 위해서 문제를 제기했지만 오히려 운영진들에게 협박과 공격을 받았다고 MBC는 보도했다.
또 ‘나눔의 집’ 정관 내용을 밝히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위한 요양시설이란 목적이 사라졌다고도 지적했다. '나눔의 집'의 정식 명칭은 ‘사회복지법인 대한불교조계종 나눔의 집’으로 법인으로 운영되고, 법인 이사의 3분의 2 이상이 조계종 스님들로 구성돼 있다. 후원금과 보조금은 나눔의 집 법인 이사들의 책임하에 사용된다.
PD수첩은 법인 이사들이 후원금을 절약해 토지 등을 구입해 사업을 확대하려고 했다며 과거 열린 이사회 영상을 공개했다.
PD수첩이 공개한 영상에는 “후원금을 절약해서 사용하고 나머지는 재산, 매입이라든가 이런 데다 사용하려고 토지 같은거 사서 사업 영역을 확대시키려고 하기 때문에…”(2017년 이사회) “우리가 좀 더 후원을 많이 받고 잘해서, 모아서 한 3년 계획을 세워서 요양원을 하나 잘 짓자. 요양원, 백여 명 수용할 수 있는 요양원을 지어서 그렇게 하시고…”(2018년 이사회) 등의 내용이 담겼다.
지난 20년간, 국민들이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위해 사용해 달라고 전했던 후원금들은 후원자들이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할머니들이 아닌 법인 재산을 늘리고, 사업을 키우는 데 사용된 셈이다.
심지어 후원금으로 매입한 일부 토지들 명의는 법인 이사와 소장 앞으로 되어 있었다. 김정환 변호사는 ‘나눔의 집 소유 및 관련된 법률 행위는 모두 나눔의 집 이름으로 하는 것이 정상적이다, 그렇지 않으면 모두 위법 행위가 될 수 있다‘고 했다.
나눔의 집은 지난해 위안부 피해 할머니 입소를 명목으로 생활관 증축 공사를 진행했다. 하지만 직원들에게 내려온 지시사항은 일반 할머니들의 입소였고, 공사 과정에서는 할머니들의 물품이 무방비로 방치되는 등 무책임한 모습들을 보였다.
지금까지 대외적으로 할머니들의 역사를 잘 보존하는 것처럼 했지만 실상은 할머니들의 유품은 수장고가 아닌 복도와 창고 등에 쌓여 있었다고 한다. 현재 나눔의 집의 운영진들은 유네스코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여러 의혹 속에서 법인의 공식적인 입장은 들을 수가 없었다. PD수첩은 조계종 측에서도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나서주기를 촉구했다. 여기에 더해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은 일본 제국주의 범죄의 희생자들로 그들의 뜻을 기리고 역사에 남기기 위해 정부와 시민사회가 함께 고민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PD수첩은 매주 화요일 밤 11시에 방송된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