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한국 합당’ 개원 이후로 밀리나…양당 수싸움

입력 2020-05-20 14:24
미래한국당 원유철 대표가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과 미래한국당의 합당이 21대 국회 개원 이후로 밀릴 가능성이 커졌다. 합당 문제가 국회 원 구성 협상과 맞물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합당 수임 기구에 참여하는 김상훈 통합당 의원과 염동열 미래한국당 사무총장은 지난 19일 비공식적으로 만났지만 합당 시기 등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해서는 의견을 모으지 못했다.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와 원유철 미래한국당 대표의 합당 합의 이후 성사된 첫 만남이지만 별 성과를 내지 못한 것이다.

20대 국회 종료(오는 29일) 전까지 합당이 어려워지면 여야 원 구성 협상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국회법에 따르면 상임위원은 교섭단체 소속 의원 수의 비율에 따라 선임되며, 비교섭단체 의원은 의장이 배정한다. 현재 미래한국당은 21대 국회의원 당선인이 19명으로 교섭단체 기준인 20명에 미달한다.

국회 운영위원회 관계자는 20일 “두 당은 별개의 정당이기 때문에 정치적으로는 몰라도 법적으로 통합당이 미래한국당의 원 구성을 대리해줄 방법은 없다”며 “최소한 공동 교섭단체는 형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당이 힘을 합치지 않으면 여당과 비교했을 때 원 구성 협상에서 불리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합당 수임 기구에 참여하고 있는 통합당 관계자도 원 구성 협상을 고려하면 조속한 합당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관계자는 “당 대 당으로 분리된 상황이라 통합당이 미래한국당을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없다”며 “당선인들이 국회에서 적합한 자리를 찾기 위해서라도 합당을 해서 상임위 구성에 참여하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미래한국당은 통합당이 지도 체제를 정비하기 전에는 논의를 진행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합당에 대한 윤곽은 21~22일 통합당 당선인 연찬회와 26일 미래한국당 전당대회를 거치면 어느 정도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미래한국당의 한 당선인은 “26일 전에 통합에 대한 로드맵이 나와야 한다는 것이 당선인들의 입장”이라며 “지도부에 이러한 의견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