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열병 확산 막는다”…야생멧돼지 포획전략 다변화

입력 2020-05-20 12:29
포획틀에 갇힌 야생멧돼지. 사진=환경부

정부가 지난해 10월부터 현재까지 국내에서 620여건이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을 막기 위해 야생멧돼지 포획전략을 다변화한다.

환경부는 지방자치단체에 ‘야생멧돼지 포획지침’을 통보했다고 20일 밝혔다.

국내에서 야생멧돼지 ASF가 발생한 이후 7개 시군 내 멧돼지 개체 수는 지난해 10월과 비교해 45.7% 줄었다. 강도 높은 멧돼지 포획을 추진한 결과다. 하지만 ASF 발생지역 7시 시군의 총기포획 실적은 1월 611마리에서 지난달 269마리로 3개월 새 340여마리가 줄었다. 영농을 겸업하는 엽사들의 포획 활동 참여가 줄고, 수풀·강온·기온 상승 등으로 사냥개 사용이 어려워진 까닭이다.

환경부는 멧돼지 포획전략을 다변화해 포획 실적 감소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ASF 발생지역 7개 시군의 포획틀 운영을 확대한다. 포획틀은 낙하식 또는 유입식 유입구가 있는 상자 형태의 장치다. 내부에 먹이를 배치해 멧돼지를 유인하고 포획하는 방식이다. 환경부는 ASF가 발생한 강원도와 경기도 지역에 각각 5억원씩 총 10억원을 지원한다. 해당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지방비로 1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포획틀마다 전담인력도 새롭게 배치한다.

야생멧돼지 포획틀 설치 모습. 사진=환경부

포획장 설치도 확대한다. 포획장은 사방이 개방된 상태에서 공중 그물을 낙하시켜 포획하는 방식이다. 멧돼지 무리 전체를 한꺼번에 잡을 수 있다. 현재 국립환경과학원이 연천군 4개 지점에 시범운영하고 있는 포획장을 100개 규모로 확대해 다른 시군으로 설치 범위를 늘릴 예정이다.

총기포획 방식도 구체화한다. 민가·농경지 주변에 멧돼지 출몰 신고가 접수되면 사냥개를 사용하지 않는 조건에서 총기포획을 허용할 방침이다. ASF 확산 위험이 적은 광역울타리 이남 지역에서는 집중적인 총기포획으로 멧돼지 개체 수를 신속하게 제거할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ASF 확산을 차단하고 빨리 종식될 수 있도록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협력하고 야생멧돼지 포획을 지속 추진하겠다”면서 “그간의 평가·분석을 토대로 이달 중 종합대책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