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 사태’ 몸통으로 지목된 김봉현 스타모빌리티 회장이 경기 지역 버스업체 수원여객의 회삿돈 240억여원을 횡령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수원지검 산업기술범죄수사부(부장검사 엄희준)는 19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위반(횡령), 사문서위조 및 동행사, 범인도피 등의 혐의로 김 회장을 구속기소했다.
김 회장은 최근 자수한 수원여객 재무 담당 전무이사 김모씨, 이미 재판에 넘겨진 스타모빌리티 사내이사인 또 다른 김모씨 등과 공모해 2018년 10월부터 지난해 1월까지 수원여객의 회삿돈 241억원을 빼돌린 혐의를 받는다.
이들은 수원여객 회사 계좌에서 김 회장이 지배하고 있는 회사 등 4개 법인 계좌로 26차례에 걸쳐 돈을 송금, 임의로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 회장 등은 수원여객이 해당 법인에 돈을 빌려주거나 전환사채를 인수할 것처럼 허위의 서류를 만드는 수법으로 회삿돈을 횡령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경찰 수사단계에서 김 회장 등이 빼돌린 회삿돈 가운데 86억원을 수원여객 계좌로 되돌려놔 실제 사라진 돈의 액수는 155억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사라진 횡령액 중 89억원을 김 회장이 기계장비 회사인 인터불스를 인수하는 등 개인적 용도로 사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인터불스는 지난해 7월 사명을 현재의 스타모빌리티로 바꿨다. 나머지 66억원은 사용처가 확인되지 않았다.
경찰은 이달 1일 김 회장을 검찰에 송치하면서 그가 은닉했던 현금 60억3000만원을 함께 송치했다. 검찰은 현재로선 이들 현금과 김 회장 등이 횡령한 수원여객 회삿돈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보고, 향후 돈의 출처에 대한 수사를 계속할 방침이다.
김 회장은 횡령 사실이 발각되자 처벌을 피하기 위해 전무이사 김씨를 해외로 출국시킨 후 도피자금을 제공하고, 여권 무효화 조치 등으로 입국이 거부되자 전세기를 동원해 제3국으로 출국하도록 하는 등 도피를 도운 혐의도 받는다. 전무이사 김씨는 해외 도피 행각을 마무리하고 최근 캄보디아 이민청을 통해 자수 의사를 밝혔다.
김 회장은 또 위조업자를 통해 타인 이름으로 된 주민등록증을 임의로 만들어 소지하다가 체포하려는 경찰관에게 제시한 혐의도 받고 있다.
앞서 김 회장은 수원여객 회삿돈 횡령 사건과 관련해 지난해 12월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앞두고 자취를 감췄다가 5개월여 만인 지난달 23일 서울 성북구에서 경찰에 붙잡혔다. 김 회장이 재판에 넘겨짐에 따라 피해액이 1조6000억원에 달하는 ‘라임자산운용 사태’ 수사도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 회장과 함께 검거된 라임자산운용 펀드의 설계자 이종필 전 라임 부사장은 지난 12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위반(수재 등),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로 기소됐다. 검찰은 일단 이 전 부사장에게 제기된 의혹 가운데 일부에 해당하는 혐의만 적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