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선 철도(제천~오송) 고속화 사업에 필요한 오송연결선은 경기 평택과 충북 오송을 잇는 경부고속선 신설노선에서 분기하는 것이 최적의 방안으로 제시됐다.
충북도는 지난해 12월부터 5개월간 진행한 오송 연결선 설치 방안 연구용역에서 이 같은 결론이 도출됐다고 19일 밝혔다.
평택~오송 2복선 신설노선 분기는 오송역 북쪽 7㎞ 지점 경부고속선 지하터널에서 분기, 청주역까지 13.1
㎞를 연결하는 것이다. 단선은 3000억원, 복선은 4000억원의 사업비가 소요된다.
이 방안은 신설노선 설계부터 반영하면 기술적 제약 없이 최적화 시공을 할 수 있고 열차운행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다. 오송지역의 도시계획과 오송역 활용에도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이 방안이 실현될 경우 호남고속선과 함께 경부고속선도 연결된다. 국가철도망 운용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는 오송 연결선이 평택~오송 2복선 신설 사업과 동시에 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에 건의하고 있다. 정부는 기술상 이유 등을 들어 호남고속철을 오송에서 직접 충북선과 연결하기는 힘들다며 난색을 보인다. 익산 논산 대전을 지나는 일반선로를 활용해 오송역에서 호남선과 충북선을 연결한다는 계획이지만 충북도 등이 소요 시간 증가를 들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현재 5시간 이상 걸리는 목포~강릉 열차 소요 시간이 충북선·중앙선과 호남고속철이 직접 연결되면 3시간대로 줄어든다.
정부 안대로 일부 일반선로를 이용하면 소요 시간이 4시간대로 줄기는 하지만 사업 대비 효과가 크지 않다는 것이 도의 입장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오송 연결선 사업은 내년 상반기 중 고시될 예정인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에 반영돼야한다”며 “최적안으로 선정된 평택~오송 2복선 신설노선이 시공될 수 있도록 정부계획 반영 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