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미국 내 저소득 지역의 자가격리 비율이 고소득 지역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 지역에서는 외출 자제를 골자로 하는 전염병 예방 정책의 효과가 감소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8일 ‘사회적 거리두기와 인터넷 접근성, 불평등’이라는 제목의 전미경제조사회(NBER) 조사보고서를 보면 고소득 지역에서 집에 머무는 사람의 비율은 기존 24%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권고 후 43%로 19% 포인트 늘었다. 저소득 지역은 일종의 ‘자가격리’ 비율이 같은 기간 25%에서 38%로 13% 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다.
레슬리 치우 미 옥시덴탈대 교수와 캐서린 터커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가 미국 내 모바일 기기 2000만대를 대상으로 올해 2~3월 위치 정보를 분석한 결과다. 연구진은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 시행 후 소득 수준과 인터넷 접근성에 따라 얼마나 많은 사람이 집에 머물렀는지를 비교했다.
연구진은 “정부 권고 전 중위소득 이상 지역은 일반적으로 중위소득 이하 지역보다 더 많은 모바일 기기가 집을 떠났다”며 “지침 시행 후에는 이런 경향이 뒤바뀌어 고소득 지역 거주자가 저소득 지역 거주자보다 집을 나설 가능성이 낮아졌다”고 전했다.
자택 체류 비율은 인터넷이 느린 지역보다 빠른 지역에서 더 크게 늘었다. 인터넷이 빠른 지역의 해당 비율 증가폭은 19% 포인트(25→44%)로 인터넷이 느린 지역의 13% 포인트(25→38%)보다 6% 포인트 컸다.
같은 고소득 지역이라도 인터넷 접근성이 좋은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자택 체류 비율이 5% 포인트 이상 높게 나타났다. 저소득 지역도 인터넷 접근성에 따라 3.5% 포인트 넘는 차이를 보였다.
연구진은 “이 논문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대책의 실효성을 소득불평등이 낮출 수 있음을 이해하기 위한 첫 시도”라며 “우리의 (연구) 결과는 정책 입안자들이 인터넷 보급률과 소득 수준이 낮은 지역에서 자가격리 정책의 성공 가능성을 우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