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관련해 세계보건기구(WHO)와 중국을 공식 석상에서 강도높게 비판했다.
앨릭스 에이자 미 보건복지부 장관은 18일(현지시간) 화상으로 열린 제73회 세계보건총회(WHA) 연설에서 코로나19 대유행은 WHO의 실패로 인해 통제 불능 상태에 빠지게 됐다고 주장했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다. WHO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WHA에서 WHO 대응을 공개 비판한 셈이다. 또 중국의 거명하지는 않았지만 중국의 책임론도 제기했다.
에이자 장관은 “우리는 이 발병이 통제불능의 상태로 된 주된 이유 중 하나에 관해 솔직해야 한다”며 “세계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얻는 데 있어 이 기구(WHO)에 의한 실패가 있었고, 이 실패는 많은 생명을 희생시켰다”고 말했다.
에이자 장관은 이어 “이 발병을 숨기려는 명백한 시도에서 최소한 한 회원국이 투명성 의무를 조롱했다”며 이것이 전 세계에 엄청난 희생을 가져왔다고 말했다. 그는 “회원국들이 선의로 행동하지 않을 때 WHO는 핵심 임무인 정보 공유와 투명성에서 실패한다는 것을 지켜봤다”며 “이것은 다시는 일어나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에이자 장관은 아울러 “WHO는 변해야 하고, 훨씬 더 투명하고 훨씬 더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며 “그들(WHO)은 중대한 구조개혁이 필요하다. 책임을 져야 한다. 그들에 대해 독립적인 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 중국을 향한 그들의 행동과 중국의 행동이 테이블에 올라와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에이자 장관의 연설은 중국과 WHO 모두를 향해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평가된다. 중국이 코로나19의 최초 발병지이며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았다는 미국측 인식과 중국을 감싸는 WHO의 태도에 대한 불편한 심기가 모두 담겨있다.
현재 미국은 중국을 상대로 전방위적 보복 조치를 검토하고 있으며 WHO에 대해서도 미국의 자금 지원을 한시적으로 중단했다.
이영미 기자 ym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