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서 ‘제국의 위안부’를 통해 정의기억연대(정의연)의 운동 방식을 비판한 박유하 세종대 교수가 정의연 회계 부실처리 의혹을 두고 “어쩌면 한국 사회를 획기적으로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박 교수는 18일 페이스북에 “조국 사태가 계기는 되었으나 역할을 하지 못했다. 그래서 뒤늦게나마 할 수 있는 일을 하기로 한다”면서 이같이 적었다.
그는 “이 사태가 커지는 것을 우려하는 이들이 있다. 그런데 그렇게 말하는 이들이 잊고 있는 게 있다. 위안부 문제에 관심을 갖고 관여해 온 10대 20대 젊은이들의 존재. 나는 이번 사태로 가장 상처받고 있는 건 그들일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사태가 커지면 일본이나 우익이 좋아할 거라는 발상은, 자신을 들여다봐야 할 때 타인의 시선이나 신경 쓰는 이들의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런 이들은 바로 그 때문에 언제까지고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많이 아플 수 있지만 견뎌야 하는 이유는 차세대에게 더 나은 사회를 넘겨주기 위해서”라고 덧붙였다.
박 교수는 또 “이번 일이 내 재판에도 도움이 되지 않겠느냐고 하는 분들이 계시는데, 사실 그건 잘 모르겠다”면서 “하지만 내가 앞으로 쓰게 될 내용들이 혹여 (할머니뿐 아니라) 나에게도 도움이 된다면, 그것이 목적이 아니라 결과이기를 바란다. 정의연 사태는 그 선후가 바뀌었기 때문에 일어난 일”이라고 했다.
박 교수는 전날 페이스북에 게재한 글에서도 정의연의 회계 의혹과 관련해 “민주당 의원이 본질이라 규정하고 정의연을 자부심을 넘어 오만하게까지 만들고 있는 (것은) 운동의 대의”라며 “재정 문제 이상으로 중요한 건 운동의 대의 자체에 대한 검토”라고 주장했다.
그는 앞서 2015년 11월 저서인 ‘제국의 위안부’에서 ‘위안부의 자발성’을 언급해 피해자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됐다. 1심 재판부는 “학문의 자유엔 출판의 방법으로 학문적 연구의 결과를 발표하는 자유도 포함된다”며 무죄를 선고했으나 2심 재판부는 2017년 10월 항소심에서 “왜곡된 사실을 적시해 평가를 크게 훼손시켰다”며 유죄(벌금 1000만원)를 선고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