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 ‘개 산책 갑질’ 캐다가 트럼프에게 잘렸다”

입력 2020-05-18 17:11
폼페이오 장관. AF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해임한 국무부 감찰관이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비위 의혹을 조사 중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해임건 역시 폼페이오 장관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건의한 것으로 알려지며 ‘보복성 조처’ 논란이 일고 있다.

미국 NBC방송은 17일(현지시간) 의회 당국자들의 입을 빌려 “폼페이오 장관이 자신의 보좌관에게 개 산책, 세탁물 찾기, 아내와의 저녁 식사 장소 예약하기 등 심부름 수준의 사적 업무를 지시했다는 의혹이 있다”며 “이 내용을 지난 15일 해임된 스티브 리닉 국무부 감찰관이 조사 중이었다”고 보도했다.

이어 “이 당국자들은 리닉 감찰관이 폼페이오 장관에 관한 다른 조사를 진행 중이었는지 알아보고 있다”며 “현재 리닉 감찰관의 해임 관련 조사를 벌이고 있는 의회 감독들은 폼페이오 장관의 직접적 보복 조처인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NBC는 리닉 감찰관의 해임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건의한 인물이 바로 폼페이오 장관이라는 주장을 내놓은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5일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에게 ‘감찰관에 대한 전폭적 신뢰가 아주 중요하지만 리닉은 그렇지 않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내 30일 뒤 해임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해임된 스티브 리닉 미 국무부 감찰관. 로이터연합

민주당 소속 엘리엇 엥걸 하원 외교위원장과 상원 외교위원회 민주당 간사 밥 메넨데스 의원은 전날 “리닉 감찰관 해임에 대한 조사에 착수할 것”이라며 “오는 22일까지 관련 기록을 제출하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이들은 “이번 해임이 폼페이오 장관을 보호하기 위한 불법 보복 조치였는지를 파악하는 게 조사의 목적”이라며 “사실로 드러날 경우 우리 민주적 제도의 근간을 훼손하는 일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펠로시 하원의장도 이날 CBS 방송 ‘페이스 더 네이션’에 출연해 “대통령에게는 연방 공무원을 해고할 권리가 있지만 감찰관이 하던 일에 대한 보복 조치라면 불법일 수 있다”며 “낭비, 사기, 남용 등 범법행위가 있다고 믿어 이를 멈추기 위해 있는 사람을 제거한 것이며 불미스러운 행위”라고 비판했다.

폼페이오 장관을 둘러싼 비위 의혹이 일었던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CNN방송은 “폼페이오 장관이 경호원들에게 식당에서 음식을 가져오거나 애완견을 찾아오라는 등의 사적인 지시를 내렸다는 내부 고발이 있었다”며 “민주당 측이 조사 중”이라고 보도했었다.

또 대부분의 의혹에 폼페이오 장관 아내인 수전 폼페이오가 자주 등장하면서 특별한 직책이 없는 그가 공무에 과도하게 개입한다는 비난 여론이 나오기도 했다. 뉴욕타임즈(NYT)에 따르면 수전은 지난해 1월 남편의 중동 순방에 동행했는데, 당시는 연방정부 일시 정지(셧다운) 시기로 국무부 직원 대다수가 무급 근무를 하던 터라 비판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그는 폼페이오 장관이 중앙정보국(CIA) 국장이던 시절에도 출장에 동행했다. CIA 본부 청사에서 사무실을 사용하며 직원들에게 지원 요청을 한 적도 있다.

NYT는 “민주당과 비판세력들은 연이어 나온 폼페이오 장관 관련 논란에는 세금 남용이라는 공통 패턴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며 “2024년 대선 도전까지 바라보는 폼페이오 장관의 정치 이력과 야망에 엄청난 위협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