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가 취임 후 첫 공식 외부일정으로 광주를 찾았다. 그는 유가족들에게 과거 통합당 의원들의 5·18 망언을 거듭 사과했다. 5·18 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식에서는 주먹을 쥔 채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했다.
주 원내대표는 18일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 등 관계자들을 만나 “그 분들(이종명·김순례 의원)이 잘못한 것”이라며 “우리 당과 관련된 분으로 인해 마음의 상처를 입은 점에 대해 거듭해서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당이 다르기 때문에 더는 어떻게 할 방법이 없고, 징계도 한 번 하고 나면 두 번, 세 번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고 답해 미래한국당으로 이적한 이 의원에 대한 추가 징계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다.
주 원내대표는 원내지도부와 국립 5·18 민주묘지 참배를 끝낸 후 기자들과 만나 “5·18 민주화운동의 의의와 성격에 관해서는 법적으로 정리가 이뤄졌다”며 “통합당은 5·18 정신에 기반해서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고 하나 된 국민통합을 이뤄가는 데 앞장서겠다”고 했다. 그는 5·18민주유공자 예우법 개정안 처리에도 앞장서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지난 16일에도 “이유를 막론하고 다시 한번 5·18 희생자와 유가족, 상심하셨던 모든 국민 여러분께 매우 안타깝고 죄송하다”고 사과했었다.
지난해 황교안 전 자유한국당 대표 등에게 거세게 항의했던 광주 시민들은 올해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 이날 시위대의 거센 항의는 보이지 않았다. 기념식장 앞에서 만난 박모(76)씨는 “주 원내대표의 사과를 듣고 천지가 개벽할 일이라고 생각했다. 당이 바뀔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만 주 원내대표는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에 강제조사권을 부여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는 “진상조사위에 강제조사권을 부여하는 문제는 위헌 주장도 있는 것으로 안다”며 “전문가 의견을 좀 더 들어보겠다”고 했다. 주 원내대표는 이날 민주묘역 참배 후 통합당 광주·전남 지역 선거 출마자들과 비공개 오찬을 갖고 낙선을 위로했다.
광주=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