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의 폭로로 촉발된 정의기억연대(정의연)를 둘러싼 각종 의혹과 논란을 일본 정부가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18일 일본 지지통신은 정의연을 둘러싼 논란을 보도하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지원 단체의 내분이 표면화하고 있다”며 “위안부 문제 해결에 있어서 피해자 중심주의를 관철하는 문재인 정권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통신은 정의연 전 이사장이자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당선인이 2015년 당시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내용을 사전에 인지했으나 피해자에게 알리지 않았다는 의혹과 관련해 “합의에 이르는 과정에서 윤 당선인이 위안부(피해자)를 배제했을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관련 파문에 대해 “한국 정부가 계속 침묵하고 있다”며 “일본 정부도 우선 (한국의) 국내 문제로서 상황을 볼 입장”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도 “(위안부 문제가) 한일 관계를 악화시킨 요인 중 하나기 때문에 사태의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통신은 이용수 할머니가 “단체에 들어온 기부금이 어디에 사용되었는지 모른다”며 불투명한 회계를 지적했고 매주 수요일 정의연 주최로 일본대사관 인근에서 열리는 정기 수요집회에 대해서도 “없애야 한다”며 불참 의사를 표했다고 보도했다.
이화랑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