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고용 충격으로 두 달 새 취업자가 무려 102만명이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노동사회연구소가 18일 발표한 ‘코로나 위기와 4월 고용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취업자 수는 2650만명으로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올해 2월(2752만명)보다 102만명 감소했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보다 더 심각한 수준이다. IMF 외환위기 당시 고용 충격이 본격화하기 직전인 1997년 12월 취업자 수는 2122만명이었는데 2개월 만인 1998년 2월에는 230만명으로 92만명 감소했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고용 위기 첫 2개월의 취업자 감소 폭이 IMF 외환위기 첫 2개월 감소 폭을 넘어선 것이다.
노동사회연구소는 “외환위기 때 14개월 동안 취업자 수가 160만명 감소했다”며 “앞으로 코로나19 위기에 따른 취업자 감소폭은 외환위기 때를 크게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2월에서 4월 사이 취업자 감소 폭을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62만명)이 남성(40만명)보다 컸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44만명), 15∼29세(21만명), 50대(19만명), 30대(18만명), 40대(16만명) 순이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시직이 45만명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노동사회연구소는 “코로나19 위기에 따른 일자리 상실은 여성, 고령자, 임시·일용직, 개인서비스업, 사회서비스업, 단순 노무직, 서비스직 등 취약계층에 집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고용노동부는 코로나19 사태로 소득·매출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감소한 특수고용직(특고) 종사자, 프리랜서, 영세 자영업자, 무급휴직자 등에게 1인당 150만원씩 주는 ‘코로나19 긴급 고용안정지원금’ 시행 방침을 이날 공고했다. 고용부는 긴급 고용안정지원금 신청을 다음 달 1일부터 7월 20일까지 인터넷 홈페이지(covid19.ei.go.kr)로 받는다.
긴급 고용안정지원금은 정부가 지난달 22일 내놓은 코로나19 고용안정 특별대책에 포함된 것으로 코로나19 사태로 올해 3∼4월 소득·매출이 25% 이상 감소한 학습지 교사와 같은 특고 종사자, 프리랜서, 영세 자영업자, 3∼5월 무급휴직을 한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다.
지원금을 받으려면 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150%(4인 가족의 경우 712만4000원) 이하이거나 본인의 연 소득이 7000만원(연 매출 2억원) 이하이어야 한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