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협력 강화 위해 코로나19 ‘K방역’ 노하우 전수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몸살을 앓고 있는 중남미 지역에 코로나19 대응 사례와 경험을 공유하고 5300만 달러를 지원한다.
18일 기획재정부(기재부)에 따르면 중남미 지역의 코로나19 대응을 돕기 위해 미주개발은행(IDB)과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협조융자 5000만 달러와 한국 신탁기금 300만 달러 등 총 5300만달러(약 652억 2700만원)를 지원한다고 전했다.
IDB는 개도국의 경제발전과 사회개발추진 등 미주지역 경제통합을 지원하기 위해 1959년 설립된 다자개발은행이다.
기재부는 보건 공적개발원조(ODA) 4억 달러(약 4920억 4000만원) 지원 방침과 IDB 및 파라과이 정부의 긴급 지원 요청에 따라 파라과이의 코로나19 긴급 대응 프로그램에 5000만 달러 규모의 EDCF-IDB 협조융자를 지원하기로 했다.
파라과이 정부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거시경제 안정과 긴급재난본부 설치 등 보건위기 대응 강화, 경제위기 극복, 포스트 코로나 대비 정책과제 달성 추진 등 총사업비 2억1000만 달러(2582억 5800만원) 규모의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양국 정부와 IDB는 이번 지원으로 한국의 질병관리본부 중심의 대응 행정체계 구축, 정보통신기술(ICT)에 기반을 둔 역학조사와 자가격리 시스템을 마련하는 등 ‘K방역’의 우수사례를 공유·전수할 예정이다.
기재부는 15일 IDB에 출연 중인 한국 신탁기금을 활용, 중남미지역 코로나19 대응사업에 총 300만 달러 지원을 승인했다.
주요 사업은 ▲ICT를 활용한 한국의 코로나19 보건 대응전략 공유(100만 달러)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한국 스타트업 기술지원 및 교류(100만 달러) ▲우루과이 원격교육 플랫폼 구축 지원(80만 달러) ▲페루 자가격리 애플리케이션 도입 지원(20만 달러) 등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코로나19 대응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K-방역을 활용한 새로운 시장개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다자개발은행과의 협조융자 및 신탁기금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명오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