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이 정유사들이 광고 방식에도 미쳤다. 연예인, 유명인 등이 등장해 정유사의 브랜드를 강조하던 TV·라디오 광고 대신 실제 기업 구성원이 직접 출연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비용 절감과 친근감 향상 등의 효과를 동시에 누리고 있다.
30초 안팎의 TV·라디오 광고는 정유사의 이름을 알리는 효과는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든다. 한 업계 관계자는 “유명인, 연예인 등의 모델 섭외에만 수억원, 광고 1편 제작에 5억원쯤의 예산이 든다”며 “이는 SNS 채널 1년치 운영 비용과 맞먹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반복적으로 브랜드 가치를 강조하는 TV·라디오에 비해 구성원들의 근무 환경을 전달하는 브이로그, 구체적 사업 내용을 설명하는 애니메이션 등 콘텐츠 다양화가 가능하다는 점도 SNS에 정유사들이 열을 올리는 이유다. 1990년대생, 2000년대생 등 취업준비생들에 변화한 기업문화를 즉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현대오일뱅크는 17일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SNS의 명칭을 ‘현대오일장’으로 통일했다. 현대오일뱅크의 사명을 살리면서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는 SNS의 특징을 강조한 것이다. 이는 현대오일뱅크 인스타그램 구독자로부터 받은 1000개의 아이디어 중 내부 심사를 통해 최종 선정했다. 현대오일뱅크 관계자는 “예전과 비교해 기업문화가 변화했으나 젊은 세대와의 소통이 부족해 기업이미지가 다소 딱딱하다”며 “양방향 소통을 통해 부드러운 기업이미지를 형성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았다”고 밝혔다.
SK이노베이션은 구독자가 3만명에 달하는 유튜브를 주력 홍보 채널로 삼았다. 각 계열사의 신입사원 4명이 ‘스키노맨’으로 등장해 근무환경과 공정 등을 설명하는 영상은 딱딱한 정유사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친근한 이미지를 만드는데 일조했다. 지난해 SK이노베이션 하반기 공채에 지원했던 신모(28)씨는 “TV광고 속의 이미지만으로 기업을 파악하는데는 한계가 있다”며 “기업이 적극적으로 업무환경을 공개하고 쉽게 사업을 설명하니 구직자들에게 이보다 더 좋은 참고자료가 어디있겠냐”고 했다.
GS칼텍스도 브랜드 슬로건인 ‘I’m your energy’를 활용한 ‘암요에너지’ 유튜브 채널을 운영 중이다. 국제유가, 셰일혁명, 석유고갈론 등 전문적인 내용을 애니메이션으로 푼 ‘에너지지식백과’는 10만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기도 했다. 에쓰오일도 ‘구도일’ 캐릭터를 전면에 내세운 유튜브 채널을 통해 친근한 이미지를 강조 중이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