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 추진…“안풀리네”

입력 2020-05-17 15:28
국민DB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멈췄던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이하 신공항) 건설 사업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나기 시작했다. 하지만 사업주체 간 갈등이 여전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경북 군위군은 17일 “주민투표를 무시하고 군민 74%가 반대하는 곳을 유치신청해야 한다면 이는 주민투표의 의미가 없는 것”이라며 “민주주의 가치를 훼손하는 것으로 절대 타협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것이 군위군의 입장이다”라고 밝혔다. 공동후보지 신청 불가 입장을 재확인 한 것이다.

앞서 대구시와 경북도, 의성군, 군위군은 올해 초 군위·의성군민을 대상으로 군공항과 민간공항을 함께 이전하는 신공항 건설에 대한 찬반 주민투표를 실시했고 군위 우보면(단독후보지)과 의성 비안면·군위 소보면(공동후보지) 중 공동후보지가 선택됐다. 그러나 군위가 이에 불복하고 단독후보지를 유치지역으로 신청하면서 계획이 틀어졌다. 여기에 국방부가 투표 후 신공항 입지를 공동후보지로 사실상 결정했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갈등이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이런 상황에서 코로나19 사태가 터져 모든 것이 중단됐다.

코로나19가 안정세에 접어들면서 경북도 등에서 신공항 문제를 다시 거론하기 시작했다. 경북도는 코로나19 피해 극복과 경제 회복을 위해 ‘범도민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는데 단계적으로 경기회복에 나서 최종적으로 대구·경북 현안인 행정통합, 통합신공항 건설 등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하지만 이날 군위군이 공동후보지 반대 입장을 밝히면서 조속한 문제 해결이 어렵게 됐다.

신공항 추진에 있어 군위군의 입장이 중요하다. 군위군이 소보지역에 대한 유치신청을 하지 않을 경우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어렵다. 또 군위의 유치 신청 없이 공동후보지를 선정할 경우 법률적 다툼의 가능성이 커 모두에게 부담이다.

김영만 군위군수는 “이전부지 선정의 얽힌 매듭을 풀기 위해서는 국방부가 조속히 선정위원회를 열어 후속 절차를 진행하는 것뿐이다”라고 강조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