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노후 공업지역 산업혁신 공간으로 탈바꿈

입력 2020-05-17 15:07
부산의 사상, 영도의 노후 공업지역 일대 노는 땅을 산업, 상업, 주거, 문화 등 융·복합 기능이 집적된 산업혁신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특히 ‘패스트트랙’ 방식을 시범 도입해 개발사업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부산시는 국토교통부의 공업지역 활성화 시범사업 공모에 선정된 영도 청학동과 사상구 삼락동에 대한 개발을 본격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를 위해 최근 부산시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영도구청장, 사상구청장과 기본 협약을 체결했다.

영도구 청학동 노후 공업지역은 조선업체가 몰려 있던 전용 공업지역이었으나, 조선업 쇠퇴로 현재 전체 부지 50만1968㎡ 중 40% 이상인 20만9211㎡가 유휴부지로 남았다. 이에 부산시와 LH, 영도구 등이 손을 잡고 총사업비 6888억원(국·시비 1388억원, LH 5500억원)을 투입해 이 지역을 개발한다.

우선 1단계로 LH가 올해 안에 유휴부지 8만7737㎡를 매입해 신산업과 상업·업무·주거 기능 등 융·복합산업 혁신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반을 조성한다. 산업생태계를 변화해 주변 공장 지역의 업종 전환을 유도하고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2단계는 기존 공장을 유지하면서 중장기적으로 해양신산업, 문화콘텐츠, 정보통신기술(ICT), 에너지클러스터 등 연관 산업으로 업종 전환을 할 수 있도록 시가 집중 지원·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시는 국·시비 1388억원을 지원한다.

사상구 삼락동 공업지역에는 LH가 1629억원을 투입한다. 이 지역은 휴·폐업 공장이 많지는 않지만, 입주기업들이 영세해 업체와 업종 경쟁력이 필요다. 사상스마트시티 사업에서도 배제된 지역이다. 시는 삼락중학교 폐교부지와 솔빛학교 이전 예정지 1만 7103㎡를 산업 혁신거점으로 변화시킨다는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통상적인 개발사업과는 달리 LH의 토지 비축 기능을 활용한 선 토지 매입과 동시에 사업 계획을 수립하는 패스트트랙 방식으로 추진한다. 기존의 사업 방식은 계획수립, 지구지정, 토지 보상, 착공 등 순차적인 행정절차로 10년이 걸리지만, 패스트트랙 방식으로 추진하면 착공까지 3년 이내로 기간이 대폭 줄어든다. 입지규제 최소구역으로 지정해 건축 규제 특례도 적용한다.

김광회 부산시 도시균형재생국장은 “이번 패스트트렉 방식의 개발사업은 새로운 형태의 노후 공업지역 활성화 사업 모델이 될 것”이라며 “내년까지 부산 공업지역 활성화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2030년까지 공업지역 전체를 체계적으로 정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