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문대통령 “5·18 발포명령자·왜곡공작 실상 규명돼야”

입력 2020-05-17 08:41 수정 2020-05-17 09:00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5·18 민주화운동 40주년을 기념한 인터뷰에서 5·18 민주화운동 당시 발포 명령자를 비롯한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8시 광주MBC 5·18 민주화운동 특별 프로그램 ‘문재인 대통령의 오일팔’에 출연해 이같이 말했다. 이번 인터뷰는 지난 12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진행됐다.

“다양한 생각을 허용하고 또 다른 생각에 대해 관용하는 표현의 자유를 존중하는 것이 민주주의의 기본”이라고 한 문 대통령은 “그러나 그 민주주의 관용이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여러 가지 폄훼에 대해서까지 인정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법적으로 다 정리된 사안은 지금까지도 왜곡하고 폄훼하는 발언들이 있고, 일부 정치권에서 조차도 그런 주장들을 받아들여서 확대 재생산시켜지는 일들이 지금도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 참으로 안타깝다”고 한 문 대통령은 “여전히 발포의 명령자가 누구였는지, 발포에 대한 법적인 최종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 이런 부분들은 밝혀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행방을 찾지 못하고 또 시신도 찾지 못해 어딘가에는 암매장돼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그런 집단 학살자들, 그분들을 찾아내는 일들, 또 헬기 사격까지 하게 된 그 어떤 경위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 대대적으로 이뤄진 진실을 은폐하고 왜곡한 공작의 실상들까지 다 규명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또 이날 인터뷰를 통해 5‧18 민주화운동의 정신을 헌법 전문에 담아야 한다고 거듭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런 내용을 담은 개헌안이 발의했었다는 사실을 언급한 뒤 “촛불혁명은 시기상으로 아주 가깝기 때문에 정치적 논란의 소지가 있어 아직 헌법 전문에 담는 것이 이르다고 하더라도 적어도 5‧18 민주운동과 6월 항쟁의 이념만큼은 우리가 지향하고 계승해야 할 하나의 민주 이념으로서 우리 헌법에 담아야 우리 민주화운동의 역사가 제대로 표현되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문 대통령은 또 “그렇게 돼야만 5‧18이나 또 6월 항쟁 성격을 놓고 국민 간 동의가 이뤄지면서 국민적 통합이 이뤄질 수 있다”며 “나는 비록 헌법안 개헌이 좌절됐지만 앞으로 언젠가 또 개헌이 논의가 된다면 헌법 전문에서 그 취지가 반드시 되살아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5‧18 민주화운동을 이끈 광주 시민들에 대해 깊은 죄책감도 표했다. “내가 광주 5‧18소식을 들었을 때 민주화의 아주 중요한 길목에 다시 군이 나와서 군사독재를 연장하려고 한다, 그 사실에 굉장히 비통한 그런 심정이었다”고 한 문 대통령은 “한편으로 광주 시민들이 겪는 엄청난 고통을 들으면서 굉장히 큰 죄책감을 느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5·18민주화운동과 관련해 떠오르는 인물로 노무현 전 대통령을 꼽기도 했다. 1987년 5월 노무현 변호사와 부산 시민들에게 광주의 실상을 담은 비디오를 보여줌으로써 6월항쟁의 원동력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그런 일들을 함께했던 그 노무현 변호사, 광주 항쟁의 주역은 아니지만 그러나 광주를 확장한 그런 분으로서 기억하고 싶다”고 소망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