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곳간에 대한 우려가 해외에서부터 나오고 있다. 17일 블룸버그 산하 연구기관인 블룸버그 인텔리전스(BI)는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GDP는 1.4% 감소하고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은 내년 50%로 높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BI는 한국의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을 지난해 37%에서 올해 46%로 악화할 것으로 예측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경제 충격이 장기화된다면 추가 부양책을 내며 재정 적자가 더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내년 경제가 2.1% 성장해도 정부가 확장적인 정책을 펴며 국가채무비율을 50%까지 늘릴 것으로 내다봣다.
BI는 올해 GDP가 0.1%만 감소하는 긍정적인 시나리오에서도 내년 국가채무비율이 46%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BI는 “문재인 정부가 임기가 끝나는 2022년 말까지 성장 모멘텀을 지키기 위해 완만한 재정 확장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한국은행의 통화정책도 이를 뒷받침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현재 연 0.75%에서 몇달 안에 연 0.50%로 내릴 것으로 BI는 예상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