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초기에 일부 실험실에서 보관 중인 바이러스 표본을 파괴한 적이 있다고 공개적으로 인정했다.
다만 해당 조치는 미국이 의심하는 것처럼 코로나19 상황을 은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안전 수준이 낮은 실험실에서의 2차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고 중국 당국은 해명했다.
16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소속 류덩펑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중국 정부가 생물학적 안전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지난 1월3일 일부 실험실에 코로나19 바이러스 표본을 폐기하도록 지시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 팀이 당시로선 불확실하던 병원체의 위험 등급을 2급으로 격상함에 따라 허가를 받지 않은 일부 실험실에서 보관 중이던 코로나19 바이러스 표본을 안전한 곳으로 옮기거나 폐기하도록 조치했다는 설명이다.
또한, 그간 중국이 초기 코로나19 바이러스 표본을 폐기하고 미국 등 다른 나라에 제공하는 것을 거부했다는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의 주장과 관련해서 류덩펑은 자의적인 해석이며 혼란을 야기할 뿐이라고 일축했다.
중국 정부는 코로나19 확산 초기, 발병 상황을 축소·은폐하는 데 급급해 사태를 크게 악화시켰다는 비난을 받았다. 특히 지난해 12월 31일이 되어서야 세계보건기구(WHO)에 우한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폐렴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고 정식으로 통보하는 등 늑장 대처로 세계적인 대유행을 유발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최근 미국 정부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우한 연구소 유래설을 거듭 주장하면서 중국 측에 코로나19 유래 조사에 협조하라고 압박을 넣고 있다.
이성훈 기자 tell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