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할 목적으로 전 국민에게 나눠주려 했던 천 마스크에서 불량품이 속출해 배포가 중단된 가운데 불량품을 검사하는 데만 90억원 이상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NHK에 따르면 일본 후생노동성의 요시다 의정국장은 이날 참의원 후생노동위원회에 출석해 “정부가 위탁한 전문 업체 관계자 약 550명이 한 장씩 마스크의 불량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며 “검품 비용으로 8억엔(한화 약 92억원)가량의 예산이 추가로 발생한다”고 밝혔다.
앞서 일본 정부는 코로나19에 대응한다며 총 466억엔(한화 약 5300억원)을 투입해 천 마스크 배포 사업을 시작했다. 지난달 전국 117개 지방자치단체에 임신부용 천 마스크 47만장을 우선 배포했으나 얼룩과 벌레 등 불량이 발견되는 경우가 속출해 배포가 중단된 상태다. 일본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임신부용으로 배포된 약 47만장 중 10%인 약 4만7000장이 불량품으로 반품됐다.
현재 일본 정부는 배포되지 않은 물량을 모두 회수해 검품을 진행하고 있다. 요시다 국장은 “당초에는 각 지자체에 검품 업무를 지시했지만 일부 지자체에서 ‘코로나19 대응에 여력이 없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와 국가가 회수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경제정책인 아베노믹스를 패러디해 아베노마스크로 불리는 해당 천 마스크는 그간 ‘작고 불량품이 많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이어져 왔고 결국 미배포 물량 전체 회수에 이르게 됐다. 도쿄를 제외한 나머지 46개 현에는 아직도 마스크가 배포되지 않은 상황이다.
국회에서 마스크 검품 비용을 질의한 사회민주당 후쿠시마 미즈호 대표 등 야권에서는 “세금 낭비”라며 거센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한편 일본 정부는 전날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크게 줄어든 전국 39개 현에 대해 긴급사태를 해제했다.
이화랑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