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5·18 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18일 오후 2시 광주 동구 금남로에 위치한 전일빌딩245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연다. 전일빌딩245는 1980년 민주화운동 당시 시민들이 몸을 숨겼던 상징적인 건물이다. 최고위원회의 뒤에는 당 지도부 포함 민주당 21대 총선 당선인 177명 전원이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한다.
민주당 관계자는 14일 “지난 12일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출범했다. 민주화운동의 진상 규명을 위한 마지막 기회”라며 “당이 조사위의 진상규명을 최대한 지원한다는 내용이 최고위 대표 발언에 나올 것”이라고 전했다.
177석을 확보한 21대 총선 압승 뒤 처음으로 맞는 민주화운동 기념일인 만큼 민주당은 국정 운영에 대한 책임감을 당과 국민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고심 중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제는 국정 운영의 책임을 나눌 수 없게 됐다”며 “무겁고 엄중한 책임감을 최고위 메시지에 반영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18일 최고위에 앞서 열리는 기념식은 사상 처음으로 민주화운동의 최후 항쟁지인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앞 5·18민주광장에서 진행된다. 최후 항쟁지의 의미를 살려 민주화운동 피해자와 유가족이 중심이 되는 행사로 치러질 전망이다. 민주당은 코로나19 확산을 우려 제한적으로 참석할 예정이다.
민주당 광주·전남 지역 당선인들은 5·18역사왜곡처벌특별법을 21대 국회 제1호 법안으로 준비 중이다. 양향자 광주 서구을 당선인은 최근 인터뷰에서 “역사 왜곡 행위에 대해 벌금형이 아니라 징역형으로 처벌을 강화하는 법안을 1호로 발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용빈(광주 광산갑) 원내부대표는 이날 오전 정책조정회의에서 “정부는 미국 국무부가 갖고 있는 5·18 관련 기밀 문서들이 추가적으로 공개되도록 지속 노력해야한다”고 당부했다.
이현우 기자 bas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