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연)의 기부금 유용 의혹과 관련해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양산을 당선인과 하태경 미래통합당 해운대갑 당선인이 설전을 주고 받았다.
시작은 김 당선인이었다. 그는 지난 12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이용수 할머니의 기자회견을 핑계로 정의연과 윤미향 당선인에 대한 보수진영의 공격이 계속되고 있다”며 “다수가 숨죽여 침묵할 때 일본 제국주의의 성노예 범죄를 세계에 알리는데 평생을 바친 한 사람의 인생과 역사적 성과를 누더기로 만들고 있다. 그것도 피해자 할머니와 정의연의 오랜 연대와 인간관계를 이간질하는 가장 악랄한 방법으로 말이다”라고 비판했다.
김 당선인은 또 “친일 반인권 반평화 세력이 최후의 공세를 하고 있다. 굴욕적인 한일 위안부 합의를 했던 미통당, 일제와 군국주의에 빌붙었던 친일언론, ‘위안부는 매춘’이라는 친일학자들이 총동원된 것 같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30년 동안 온갖 수모와 피눈물 속에서도 일본의 사죄와 배상을 받아내고, 여성의 인권이 보장되는 평화로운 세상을 만드는 일을 단 한 순간도 포기하지 않았듯이, 이번 난관도 잘 극복하고 본인의 다짐처럼 ‘죽은 자들의 몫까지 함께 해내는 운동’을 꿋꿋하게 해낼 수 있기를 응원한다”고 적었다.
이에 하 당선인은 다음날인 13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언제부터 회계투명성 문제가 친일이 됐나. 그럼 일본과 싸우는 단체는 회계부정해도 괜찮다는 이야기인가. 그게 공공 비영리단체(NGO) 감독하는 행정안전부 장관 출신이 할 소리인가”라며 “윤 당선인이 이사장으로 있었던 정의연의 회계투명성은 행안부와 국세청조차 문제가 있다며 추가 자료제출을 요구했다. 김 당선인 주장대로라면 회계 재공시 명령한 국세청과 기부금 모금 사용내역 제출하라고 한 행안부조차 친일세력 되는 거다”라고 반박했다.
김 당선인은 곧바로 페이스북 반박글을 올려 “정의연과 윤 당선인을 향한 의혹 제기는 전쟁범죄 진상규명과 일본의 배상을 요구하는 활동에 재갈을 물리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된 것이라 생각한다”며 “어제까지 침묵하던 언론이 윤미향 당선과 시간을 맞춰 조선일보가 보도하고 친일학자들이 모인 이승만 학당에서 같은 날 ‘위안부는 매춘’이라고 다시 주장하고 나선 것을 보라. 이게 오비이락인가”라고 비판했다.
김 당선인은 이어 정의연과 윤 당선인을 향해 비판을 이어나가는 미래통합당을 겨냥해 “국가가 나서서 감사패를 줘도 모자랄 판에 야당이 이런 점에 대해서는 눈감고, 어처구니 없는 비열한 공격에 앞장서는 것은 친일이 아니면 도저히 설명할 단어가 없다”며 “야당은 위안부 문제를 덮자는 것이고, 일본의 눈치를 보자는 것 아닌가”라고 주장했다.
회계투명성 문제에 대해서도 “회계범죄를 저질렀다고 주장하시려면 증거를 제시해야 한다. 정의연은 해명 기자회견을 했다”며 “제대로 확인도 하지 않은 채 보도하는 언론 편에 서시다니 안타깝다”고 적었다.
하 의원은 김 의원의 글을 재반박했다. 그는 “김 의원께서는 회계 문제 불거진 NGO 비판했다고 ‘당신 친일이냐’로 공격하고 있다. 이는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색깔론이다”라고 비판했다.
하 의원은 이어 “정의롭고 선한 일을 하는 NGO는 의혹이 있어도 모든 걸 눈 감아줘야 한다는 주장이시라면 저는 동의할 수 없다. 그것이 NGO를 병들게 하고 사회를 타락시키기 때문이다”라며 “또 이번 사태는 이용수 할머니의 폭로로 시작됐다. 회계투명성에 문제가 있다는 것은 국가기관인 행안부와 국세청을 통해서도 확인이 됐다”고 반박했다. 정의연의 회계투명성 의혹을 제기하는 건 위안부 문제 해결과 별개라는 취지다.
하 의원은 “보수 진영이 의혹을 제기해 윤 당선인과 정의연에 재갈을 물리려고 한다”는 김 의원의 주장에도 “공익NGO가 회계자료 거부한다면 누구나 화를 낼 수 밖에 없다. 정의연이 회계 문제도 투명하게 하면서 위안부 인권 운동을 한다면 더 큰 박수를 받을 것이다”라며 “빨갱이 색깔론 비판하시면 친일 색깔론도 배격해야 한다. 빨갱이 색깔론 비판하면서 친일 색깔론 휘두르는 더블 스탠다드는 위선이다”라고 글을 맺었다.
하 의원은 14일 페이스북에 올린 2개의 게시물에서 정의연의 회계 세부 내역 공개를 거듭 촉구했다. 그는 “공개 원치 않는 기부자가 많아 내역을 못 밝힌다”는 윤 당선인의 라디오 인터뷰 내용을 소개하며 “자기 돈 사용처 공개를 결사 반대하는 사람이 있을까. 자기 기부금을 좋은 곳에 쓰는지 의미없는 곳에 쓰는지 심지어 삥땅하는지 전혀 궁금하지 않은 기부자가 있나”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변명을 해도 그럴듯 하게 하고 왜곡을 해도 정도껏 해야 한다. 윤 당선인은 국민을 바보 취급한다”며 “진실을 끝까지 감출 수는 없다. 윤 당선인은 정의연이 적당히 덮고 넘어가려 한다면 위안부 운동의 정당성까지 되돌릴 수 없는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박준규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