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14일 전국에 선포했던 긴급사태 조치를 39개 도도부현(광역자치단체)에서 우선 해제하기로 했다. 도쿄, 오사카 등 코로나19 감염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8개 지역에 대해선 당분간 긴급사태가 유지된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이날 오후 정부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를 열어 긴급사태 해제를 결정한다고 아사히신문 등이 보도했다. 정부 회의에 앞서 열린 전문가 자문위원회 회의에서 위원들은 긴급사태 조기 해제 방침이 타당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일본 정부의 코로나19 대책을 총괄하는 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재생상은 전문가 회의 후 기자들에게 감염 재확산 방지책을 철저히 마련하는 것을 전제로 사회·경제 활동 수준을 높여 나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긴급사태가 해제되는 39개 도도부현 중에는 특정경계구역으로 지정됐던 이바라키·이시카와·기후·아이치·후쿠오카 등 5곳이 포함됐다. 최근 의료기관에서 약 20명의 집단감염이 발생한 에히메현에 대해선 감염경로 조사 및 보고를 전제로 조건부 해제할 방침이다.
그러나 도쿄·홋카이도·사이타마·지바·가나가와·오사카·교토·효고 등 나머지 8개 특정경계구역에서의 긴급사태는 유지된다. 코로나19 감염자 수가 줄고는 있지만 의료 체계가 정상 가동되기까지는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들 지역의 긴급사태 해제 여부는 오는 21일쯤 다시 검토될 전망이다.
앞서 일본 정부는 지난달 7일 도쿄 등 7개 지역에 긴급사태를 선언했고, 일본 내 감염자가 1만명이 넘어서자 16일 이를 전국으로 확대했다. 이어 지난 4일 긴급사태 적용 시한을 이달 말로 연장했다.
일본의 코로나19 환자는 지난 13일까지 나흘 연속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지난달 하루 최대 7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나왔던 데서 크게 줄어든 것이다. 이날 기준 누적 환자는 1만6000명, 사망자는 670명을 넘어섰다.
아사히신문은 “최근 2주간 신규 감염자 수가 감소 추세를 보였고, 특히 지난 1주일 인구 10만명당 신규 확진자가 0.5명 아래로 떨어졌다는 사실이 긴급사태 조기 해제의 근거가 됐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는 긴급사태를 조기 해제하는 대신 전국 47개 도도부현을 3단계로 구분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행 특정경계구역에 감염확대주의구역, 감염관찰구역이 더해진다. 이들 지역에서는 도도부현 경계를 넘는 불필요한 이동 등이 제한된다. 일본 정부는 또 긴급사태가 풀린 지역에서도 밀폐·밀집·밀접 등 이른바 ‘3밀’(密)을 피하는 생활방식을 이어가기로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