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이 도내 자영업자 매출 증가에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지급 이후 도내 자영업자 월매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기였던 2~3월 대비 18% 증가했다.
또 경기지역화폐 가맹점포 80%는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경영난 극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경기도는 지난 6일부터 8일까지 경기지역화폐 가맹점 1000곳을 대상으로 코로나19에 따른 영향과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효과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해 14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월매출 변화에 대해 ‘증가했다’는 응답이 56%로 절반을 상회했다.
도내 자영업자의 월평균 매출이 코로나19 확산 이전 2178만원에서 확산기(2~3월)에 1446만원으로 33% 감소했으나,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지급 이후 1710만원으로 18%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업종별로는 식품·음료 부문이 77%, 상권유형별로는 전통시장 상권 부분이 67%로 특히 ‘증가했다’는 응답이 높았다.
경기지역화폐 가맹점포의 80%는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영난 극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경기지역화폐 가맹점포의 52%는 자영업과 소상공인의 폐업과 사업축소 계획 철회에 대해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사용이 종료되는 8월 말 매출에 대해서도 가맹점포 절반에 이르는 48%가 2~3월 대비 ‘늘어날 것’이라고 기대 섞인 응답을 했다.
이는 경기지역화폐 가맹점포의 89%가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지급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과 일맥상통하는 대목이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진 2~3월 중 도내 자영업 매출은 대다수 점포(89%)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응답자의 21%는 임시휴업을 한 적이 있었으며, 기간은 4주일 이상이 34%로 많았다.
영업시간을 줄임(41%), 직원·아르바이트 수를 줄임(22%), 직원·아르바이트 시급 줄임(8%) 등의 운영방식 변화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어려움 해결을 위한 조치로는 금융기관에서 대출과 적금해지 및 비상금 사용이 각 23%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정부·지자체와 공공기관에 지원신청(15%), 지인이나 지인 소개로 대출(10%) 등 순이었다(복수응답).
곽윤석 도 홍보기획관은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이 지역경제를 회복하는데 밑거름이 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1340만 도민이 빠짐없이 신청하고 신속히 소비하도록 적극적인 홍보캠페인을 전개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여론조사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6일부터 8일까지 경기지역화폐 가맹점 1000곳 대상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신뢰수준은 95%, 표본오차 ±3.09%p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