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연계 해커, 백신·치료제 정보 불법 입수 시도”
미국 내 중국 학생·연구자들 ‘비전통적 정보원’ 가담
코로나19 둘러싼 미국·중국 충돌, 더욱 격화 전망
미국 안보당국이 “중국과 연계된 해커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백신 등에 대한 연구 정보를 훔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면서 13일(현지시간) 경고했다.
미국 연방수사국(FBI)은 특히 중국과 연계된 행위자들이 미국 내의 코로나19 연구기관을 표적으로 한 활동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미국과 중국 간 코로나19를 둘러싼 충돌이 더욱 격화될 전망이다. 코로나19가 중국의 우한 바이러스연구소에서 시작됐다는 트럼프 행정부의 주장으로 촉발된 갈등이 중국의 코로나19 정보 탈취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미 FBI와 국토안토부 산하 사이버안보·기간시설안보국은 이날 공동 성명을 내고 “(미국의) 보건과 약학 연구자들은 (중국의) 잠재적인 공격에 대해 경계해야 하며,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이들 기관은 “(중국의) 행위자들이 백신과 코로나19 치료법 등에 대한 귀중한 지적 재산과 공공 보건 데이터를 불법적으로 입수하려는 시도를 펼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코로나19 백신 등) 이 같은 정보의 잠재적인 절도 가능성은 안전하고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코로나19 치료 방안 제공을 위태롭게 한다”고 비판했다.
FBI는 중국의 코로나19 연구 정보 탈취 음모엔 중국과 연계된 사이버 해커들뿐만 아니라 미국에 거주하는 중국인 학생·연구자들이 가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FBI는 이들 중국인 학생·연구자들을 전통적 의미의 정보 요원인 스파이들과 달리 비전통적 정보 요원이라고 지칭했다.
FBI는 다만 해킹 대상이 된 미국 연구기관이나 해커의 신원 등은 밝히지 않았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과 연계된 해커들의 목표가 미국이 개발 중인 코로나19 치료제에 관한 데이터를 훔치려는 것인지, 컴퓨터 네트워크를 중단 또는 무력화시켜 미국의 백신 개발 노력을 방해하는 것이었는지에 대해선 FBI와 CISA가 설명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코로나바이러스와 관련한 연구와 데이터가 모든 해커의 우선순위로 떠올랐다”면서 “중국은 그동안 미국이 지속해 주장한 사이버 스파이 혐의를 부인해왔다”고 전했다.
앞서 뉴욕타임스(NYT)는 중국 등 세계 각국이 해킹을 통해 다른 나라의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기술 등에 대한 정보를 훔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고 지난 10일 보도했다.
NYT는 중국과 연계된 해커들의 활동을 크게 보도했다. 하지만 NYT는 한국의 해커도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일본 관료의 이메일을 해킹해 정보를 빼내려 했다는 내용을 전하기도 했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