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코로나 이후 지역공동체적 해법 모색

입력 2020-05-13 16:45

경남도가 국토공간, 마을공동체, 사회적경제, 보건의료·돌봄을 주제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지역 공동체적 해법을 모색했다.

경남도는 13일 도청 잔디광장 산책로에서 포스트 코로나 대응 사회혁신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는 임동근 전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 유창복 미래자치분권연구소장(전 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장), 최혁진 전 청와대 사회적경제비서관, 임종한 인하대 의대 교수 등 4명의 전문가 발제와 송원근 경남과기대 경제학과 교수가 주재하는 자유토론으로 진행됐다.

이번 토론회는 코로나19가 가져오고 있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시민사회, 학계에서 다양한 정책수립을 위한 토론이 본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경남 지역공동체가 고민해야 할 사안을 논의하고 사회혁신의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유창복 소장은 코로나로 인해 부각되고 있는 비대면 관계로의 전환과 국가 주도성의 강화로 인해 발생하게 될 문제를 시민의 삶과 지역공동체가 중심이 되는 로컬관계로 풀어야 함을 강조하면서 대안으로서 지역공동체의 사회연대경제 전략인 로컬뉴딜을 제안했다.

임동근 교수는 2010년대 초반 프랑스의 국토 공간 미래예측 연구사례를 소개하고 코로나 이후 국토공간과 지역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필요한 고려사항들을 발표했다.

최혁진 전 비서관은 코로나 이후 10가지 키워드를 소개하면서 “글로벌 기업 주도의 신자유주의 경제질서가 쇠퇴하고 공공성과 사회적 가치, 지속가능성 등이 중요해질 것”이라며 “협동조합과 사회적 가치, 지역공동체가 중심이 되는 사회연대경제의 역할이 앞으로 중요하다”고 말했다.

임종한 교수는 “코로나로 인해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의 우수성이 입증된 한편 빈곤노인과 시설수용자에 집중되는 건강 불평등과 같은 문제점도 드러났다”며 “코로나 이후 의료와 돌봄시스템이 지자체와 일차 의료, 시민참여기반으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 교수는 아울러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급식, 건축, 돌봄 노동자협동조합이 공동으로 보육시설을 설립 운영하는 카라박 프로젝트를 노인의료돌봄 중심으로 재구성하는 경남형 신카라박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이날 김경수 지사는 “포스트 코로나는 사회적 가치를 중시하는 새로운 시대가 될 것”이라며 “우리가 개척해나가야 할 연대와 협력 방안에 대해 함께 고민해보자”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