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포항역 복합개발 추진…인근 집창촌 어쩌나

입력 2020-05-13 16:03 수정 2020-05-13 16:06
한국철도공사는 13일 옛 포항역지구 복합개발 민간사업자 모집 공고를 시작으로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사진은 옛 포항역지구 전경. 포항시 제공

경북 포항의 옛 포항역 복합개발사업이 재추진되면서 인근에 있는 ‘성매매업소 집결지(집창촌)’ 해체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3일 포항시에 따르면 한국철도공사는 이날 옛 포항역지구 복합개발 민간사업자 모집 공고를 시작으로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 사업은 포항시 북구 대흥동 595-170번지 일원 2만7700㎡에 1000세대 규모의 주상복합아파트와 시민들을 위한 공원, 주차장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2017년에도 사업을 추진하다 그해 11월 15일 포항지진과 글로벌 경기침체 등 여러 악재가 겹치면서 개발이 불발됐다.

시와 철도공사는 구도심 재생의 핵심인 옛 포항역 부지가 개발되면 중앙상가 등 인근 지역 동반성장과 원도심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경북 포항의 옛 포항역 복합개발사업이 재추진되면서 인근에 있는 ‘성매매업소 집결지(집창촌)’ 를 철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사진은 옛 포항역 주변에 남아 있는 집창촌.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

그러나 사업부지 지척에 집창촌이 눈엣가시처럼 버티고 있어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

옛 포항역 주변이 재개발돼도 남아 있는 집창촌으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포항의 집창촌은 일제 강점기 포항역이 들어서고 한두 곳 생겨나면서 60~70년 전부터 형성됐다.

‘새날’ 성매매피해상담소에 따르면 현재 60~65곳이 영업 중이다. 종사 여성은 150여명 정도다.

2004년 성매매특별법 시행 이후 그 수가 다소 감소했으나, 2010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포항의 핵심 상권인 중앙상가와 맞닿아 있는 집창촌은 도심환경과 도시 이미지를 실추시켜 철거논의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지만 진척이 없다.

2017년 집창촌 구역까지 포함해 개발계획을 세웠던 LH에서 토지 보상 문제 등에 봉착하면서 해당 구역의 개발이 무산된 바 있다.

시민 박모(55·포항시 중앙동)씨는 “지금도 장사를 하고 있는 집창촌 바로 옆에 주택과 공원이 들어서는 것을 누가 좋아하겠냐”면서 “이번 기회에 집창촌을 철거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북 포항의 옛 포항역 복합개발사업이 재추진되면서 인근에 있는 ‘성매매업소 집결지(집창촌)’ 를 철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사진은 옛 포항역 주변에 남아 있는 집창촌.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

포항시는 경찰 등 유관기관과 합동단속을 통해 성매매 예방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지만, 집창촌 정비는 엄두를 못 내고 있다.

철거 조치도 쉽지 않다.

철거 과정에서 집창촌 업주들은 보상을 받을 수 있지만, 성매매 여성들은 한순간에 삶터를 잃게 돼 또 다른 문제가 야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포항시 관계자는 “집창촌 철거는 직접적인 보상은 물론 일종의 권리금이라는 것이 있어 어려움이 있다”면서 “인근 지역이 개발되면 자연스럽게 단절효과 등으로 쇠퇴하거나 이주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