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스모 선수 스에타케 기요타카(28)가 도쿄 시내 병원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사망했다. 그는 38도가 넘는 고열과 피가 섞인 가래를 토하는 증상을 겪고도 일주일가량 제대로된 진단 검사조차 받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부실한 일본의 검사 체계가 또 한 명의 소중한 목숨을 앗아간 셈이다.
13일 NHK와 닛칸스포츠 등에 따르면 일본 스모협회는 스에타케 선수가 이날 오전 0시30분쯤 숨졌고, 사인은 코로나바이러스성 폐렴으로 인한 다장기부전이라고 밝혔다. 스모 선수가 코로나19로 숨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문제는 스에타케 선수가 최초로 증상을 호소한 뒤로 6일째 제대로 된 코로나19 진단 검사조차 받지 못한 채 시간을 허비했다는 점이다. 일본 스모협회가 공개한 경과를 보면 스에타케 선수는 지난달 4일부터 38도대 고열에 시달렸다. 당시 그의 스승들은 보건소에 전화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고, 일반 병원에도 여러 차례 진단을 의뢰했지만 결국 접수하지 못했다.
결국 스에타케 선수는 8일부터 피가 섞인 가래를 토하는 증상까지 보이며 몸 상태가 급격히 악화되고 말았다. 당시 급하게 구급차를 불렀지만, 쉽게 진단검사를 받지 못한 그는 결국 늦은 오후가 돼서야 대학 병원에 입원해 간이 코로나19 검사를 받았고, 결과는 음성이었다.
하지만 그는 다음날 상태가 더 안좋아져 다른 대학병원으로 긴급이송됐다. 스에타케 선수는 10일에야 제대로 된 유전자 검사(PCR)를 받았고, 양성 진단통보를 전해들었다. 초기 대처가 늦은 터인지 그의 상태는 좀처럼 호전되지 않았고, 일주일 여 뒤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이어왔지만 끝내 일어나지 못했다.
스에타케 선수는 일본 스모 선수를 구분하는 상위 10등급 중 아래에서 세 번째인 산단메(三段目)였다. 평소 밝은 성격이었지만, 지병으로 당뇨병을 앓고 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스모협회는 “그가 한 달 이상의 투병 동안 괴로웠지만 스모선수답게 악착같이 버티며 끝까지 병과 싸웠다”며 “편히 잠들길 바란다”고 애도의 메시지를 전했다.
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이날 기준 일본의 인구 100만 명당 코로나19 진단 검사자 수는 1768명이다. 1만3574명인 한국의 13% 수준에 불과하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