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금 논란’ 속 수요집회… 옆에선 “정의연 해산” 맞불집회

입력 2020-05-13 14:40 수정 2020-05-13 15:33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에 대한 후원금 관련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13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인근에서 수요집회가 열리고 있다. 연합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회계 부정 논란 이후 첫 수요집회를 예정대로 진행했다.

기부금 용처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와 윤미향 전 이사장은 참석하지 않았다.

정의연은 13일 낮 12시 서울 종로구 옛 일본 대사관 앞에서 제1439차 정기 수요집회를 개최했다.

논란 속 열린 수요집회 현장은 그 어느때보다 뜨거웠다. 정의연을 지지하기 위해 상당수의 시민이 현장을 찾았다.

앞서 정의연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지난 두달여 간 온라인 생중계를 중심으로 최소 인원만 참석하는 방식으로 집회를 진행했다.

연합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은 이날 집회에서 “어버이날을 맞아 할머니들을 찾아뵙고 할머니들의 뜻을 생각하는 시간을 갖는게 제일 중요했는데(그러지 못했다)”라며 “지난 11일 기자회견 이후 일부 언론에서 지금까지도 왜곡을 일삼고 있는 정의연의 기부금 사용과 관련한 내용을 다시 한 번 말씀 드리겠다”고 입을 열었다.

이 이사장은 “정의연에서 개인적으로 자금을 횡령하거나 불법으로 유용한 사실은 절대 없다”며 “매년 변호사와 공인회계사의 감사를 받았고 매번 문제가 없다는 의견을 들었다”고 말했다.

다만 “국세청 시스템 공시 입력 과정에서 아주 약간의 실수가 있었다”며 “이는 국세청의 재공시 명령에 따라 바로잡고, 나아가 우리의 투명성을 다시 한 번 입증하고 악의적 왜곡 보도에 정면 대응하기 위해 다수의 공인회계사에게 기부금 사용 내역을 검증받아 기부금 사용과 관련한 불필요한 의혹을 종식하겠다”고 밝혔다.


이 이사장은 이어 “정의연을 향해 이뤄지는 일부 언론의 악의적 왜곡 보도는 시민사회 전반에 대한 폄하이자 평화, 인권, 여성, 민족운동 등 모든 운동에 대한 탄압행위”라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 종결을 시도하는 악의적 의도에 기반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30년 간 이어진 할머니들과 활동가들, 함께한 시민들의 헌신과 끈끈한 연대를 제발 훼손하려 하지 말라”며 “전세계가 주목하는 이 장소에서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지켜왔던 수요일의 정신, 할머니들의 가르침, 하늘에 계신 할머니들의 유지, 우리의 역사를 지키기 위해 더 크게 연대하고 꿋꿋히 행동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이사장의 발언 사이사이 현장 참가자들의 박수와 호응이 이어졌다. 현장에는 ‘사랑합니다’라는 글자가 인쇄된 노란색 종이를 들고 시민들이 모였다. 일부는 특정 언론을 지목해 “친일, 반민족 언론 타도”라며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서도 2500여명이 수요집회를 지켜봤다.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에 대한 후원금 회계 관련 의혹이 연일 불거지고 있는 가운데 13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인근에서 전국 일제피해자 단체장 연합회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수요집회를 반대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

한편 수요집회 현장 주변에서 정의연을 비판하는 반대 집회가 열려 충돌이 일어나기도 했다.

‘자유연대’ ‘엄마부대’ 등 보수단체들은 이날 소녀상 길 건너편에서 맞불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윤미향은 학비와 생활비가 1년에 1억 이상 들어가는 (자녀의) 유학생활을 4년 동안 자행한 자금의 내역을 소상히 밝혀야 한다”며 윤 당선인의 사퇴와 정의연 해산을 촉구했다.

일부 시위자들과 보수 유튜버들이 정의연을 향해 비난 목소리를 내면서 곳곳에서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다만 경찰이 이들을 제지하면서 물리적 충돌은 일어나지 않았다.

앞서 이용수 할머니는 지난 7일 “수요집회에 가면 학생들이 용돈을 모아 돈을 낸다”며 “학생들은 전국의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위해 돈을 내지만, 할머니들에게 쓰인 적은 없다”며 정의연의 기부금 사용에 의혹을 제기했다.

정의연은 지난 11일 기자회견을 열고 “정의연은 위안부 피해자들의 생활안정만을 목적으로 하는 인도적 지원단체가 아닌 여성인권운동단체”라며 “기부 후원금은 목적에 맞게 사용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