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6명 “전국민 고용보험 도입하자”

입력 2020-05-13 12:07
지난 7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대리운전노동조합 주최로 열린 대리운전 노동자 생존권 보장 촉구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있다. 이들은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리운전 노동자들에 대한 실효성 있는 생계지원과 노동기본권 보장, 대리운전보험 정상화, 고용보험 적용, 대리운전업법 제정 등 제대로 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연합뉴스

전국민 고용보험제를 둘러싼 사회적 논의가 본격화된 가운데 국민 10명 중 6명이 도입에 찬성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직종 별로는 사무직 종사자들은 단계적 추진을, 노동직 종사자들은 전면 도입을 선호하며 온도차를 드러냈다.

13일 오마이뉴스 의뢰로 리얼미터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500명(표본오차 95%·신뢰수준 ±4.4%포인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국민 고용보험제를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34.2%로 전면 도입(29.1%)보다 높았다. 필요 없다는 응답은 20%였다.

직종 별로 보면 속도 차가 확연했다. 사무직 응답자의 47.4%가 전국민 고용보험제를 직종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자영업자를 포함해 전면 도입해야 한다’는 26.2%, ‘전국민 확대는 필요 없다’는 18.4%였다.

노동직은 42.2%가 전면 도입에 찬성했고, 단계적 도입을 해야 한다는 응답은 28.4%에 그쳤다. 25.9%는 도입이 필요하지 않다고 했다.

자영업자의 경우 전면 도입에 공감한 이들은 35.4%였다. 단계적 추진은 29.7%, 불필요는 22.8%였다. 농어업직에 종사하는 이들은 전면 도입이 39.4%, 단계적 추진 29.6%, 미도입 8.5%로 집계됐다.

리얼미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등 경기가 위축될 때 사무직보다는 노동직이 정리해고 등 고용 리스크가 더 높기 때문에 이런 경향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며 “자영업자의 경우 보험료율 등이 고려 요소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황덕순 청와대 일자리수석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고용보험 가입대상에 대한) 정부의 입장은 특수고용직까지 꼭 포함돼야 한다는 것”이라며 “예술인만 포함된 것은 무척 아쉽다”고 밝혔다.

앞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가 지난 11일 전체회의에서 고용보험 가입 대상을 예술인까지 넓히는 고용보험법 개정안을 처리했지만, 보험설계사·학습지 교사 등 특수고용직을 제외한 데 대한 안타까움을 표출한 것이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