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과 현대차가 ‘한국형 뉴딜’의 핵심 사업인 미래차 분야에서 협력에 나선다.
13일 재계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은 이날 삼성SDI 천안사업장에서 만나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의견을 나눈다.
이 부회장과 정 수석부회장이 사업상의 이유로 독대를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두 사람은 재계 모딤 등에서는 만난 적이 있지만 단둘이 자리를 가진 적은 없다.
국내 재계 1,2위인 삼성과 현대차의 최고의사결정권자가 만난만큼 가시적인 결과로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정 부회장이 삼성 사업장을 방문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차그룹과 삼성 경영진은 이날 삼성SDI 천안사업장을 찾아 차세대 전기차용 배터리인 전고체 배터리 개발 현황과 방향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다.
현대차그룹에서는 정 수석부회장과 현대·기아차 연구개발본부 알버트 비어만 사장, 상품담당 서보신 사장 등이 현장을 찾을 예정이다.
삼성에서는 이 부회장을 비롯해 삼성SDI 전영현 사장, 삼성종합기술원 황성우 사장 등이 현대차그룹 경영진을 맞을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SDI 천안사업장은 소형 배터리와 자동차용 배터리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공장이다.
현대차그룹 경영진은 전지동 임원회의실에서 삼성SDI 및 삼성종합기술원 담당 임원으로부터 글로벌 전고체배터리 기술 동향과 삼성의 전고체배터리 개발 현황 등에 관해 설명을 들은 뒤, 상호 관심 사안에 대해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최근 1회 충전 주행거리가 800㎞에 이르는 전고체전지 혁신기술을 발표한 바 있다.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전고체전지는 배터리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있는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대체하는 배터리로 기존 리튬이온전지와 비교해 대용량을 구현하고 안전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이 부회장과 정 수석부회장의 만남은 최근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 3주년 특별연설 직후에 이뤄졌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문 대통령은 특별연설에서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등 3대 신성장 산업을 더욱 강력하게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문 대통령은 ‘한국형 뉴딜’ 정책을 통해 신성장 산업 지원에 나설 것을 강조했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 대표 기업이 적극 호응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에도 힘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현대·기아차는 세계 최고 성능의 전기차에 필요한 최적화된 배터리 성능 구현을 위해 연관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며 “이번 방문은 차세대 배터리 기술 방향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신기술 현황 등을 공유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말했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삼성의 전고체 배터리는 구조적으로 단단하고 안정화돼 있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 중 하나”라며 “모빌리티 분야에서의 혁신을 위해 양사 간 협력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