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92) 할머니의 발언으로 촉발된 시민단체 정의기억연대(정의연)의 후원금·기부금 유용 의혹이 결국 검찰 수사 대상이 됐다. 정의연 상임대표 출신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당선인에 대한 수사의뢰 사건이 서울서부지검으로 내려보내질 예정이다.
12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대검은 시민단체 활빈단 홍정식 대표가 윤 당선인을 횡령·사기 등 혐의로 수사의뢰한 사건을 서울서부지검이 맡아 수사하도록 결정했다. 대검은 후원금 유용 의혹의 당사자 격인 정의연이 서울 마포구에 사무실을 두고 있는 점을 고려해 관할 검찰청인 서울서부지검이 사건을 살피도록 했다. 수사의뢰서 등 관련 서류는 13일 서울서부지검으로 전달된다.
홍 대표는 지난 10일 “윤 당선인이 이용수 할머니의 사전 동의 없이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국내외 성금이나 후원금, 기부금을 다른 용도로 유용하고 횡령했다는 의혹이 있다”며 대검에 수사의뢰서를 냈다. 활빈단은 “33인의 위안부 할머니들의 모임인 ‘무궁화회’가 제기했던 실태조사 3억원 횡령 의혹에 대해서도 철저히 수사해 달라”고 했다.
이 할머니는 지난 7일 정의연이 지난 30년 동안 자신을 이용해 받은 후원금과 기부금 등을 유용했다는 취지의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 할머니는 “수요집회에 참여한 학생들이 낸 성금은 어디 쓰는지도 모른다” “집회가 학생들 고생시키고 푼돈만 없애고 교육도 제대로 안 된다”고도 말했다. 이 할머니는 또 “성금‧기금 등이 모이면 할머니들에게 써야 하는데 할머니들에게 쓴 적이 없다”고 했다.
이에 정의연이 기자회견을 열고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간 총 일반 기부수입 금액의 41%를 피해자(할머니들) 지원 사업에 사용됐다”고 해명했지만 의혹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오히려 2018년 ‘후원의 밤’ 행사에서 실제 결제액을 부풀려 처리했다는 의혹 등이 더 불거졌다.
윤 당선인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6개월간 가족과 지인들의 숨소리까지 탈탈 털린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생각나는 아침”이라고 했다. 그는 “겁나지 않는다. 친일이 청산되지 못한 나라에서 개인의 삶을 뒤로하고 정의 여성 평화 인권의 가시밭길로 들어선 사람이 겪어야 할 숙명으로 알고 당당히 맞서겠다”고 했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