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주정부가 LG화학 측에 가스 유출 사고 원인 물질을 전부 한국으로 옮기도록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LG화학이 환경 규정을 어겼다는 의혹도 제기됐으나 LG화학은 이를 부인하고 있다.
12일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자간모한 레디 안드라프라데시 주총리는 LG화학 계열 LG폴리머스 측에 1만3000t 분량의 스티렌 재고를 한국으로 반송하라고 명령했다. 이미 8000t가량은 한국으로 가는 선박에 실린 상태다. LG폴리머스 측도 “인도 정부 지시에 따라 공장 등에 보관하고 있던 모든 스티렌을 한국으로 옮기는 중”이라고 인정했다.
사고 책임을 놓고 LG화학 측이 환경 규정을 위반했다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이날 영국 일간 가디언은 LG폴리머스가 공장의 설비 확장 과정에서 환경 규정을 위반했다고 지적했다.
가디언은 LG폴리머스가 지난해 5월 당국에 신청한 ‘설비 확장 신청 진술서’를 토대로 당시 LG폴리머스가 환경 규정과 관련해 유효한 승인을 받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인도 환경부도 지난 8일 잠정 조사 결과를 전하며 “LG폴리머스 측이 지난 3월 설비 확장 허가 신청을 했는데 승인이 떨어지기 전에 가동에 들어갔다. 이는 환경 규정 위반”이라고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LG폴리머스 측은 연합뉴스에 “2006년 이전부터 설치 허가(CFE), 운영 허가(CFO) 등 환경 관련 인허가를 받은 상태다. 가디언 등에서 제기한 환경 규정 위반 지적은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인도 정부가 2006년 환경허가(EC)라는 새 규정을 도입했는데 LG폴리머스는 EC 취득 대상 회사가 아니었다”며 “그럼에도 인도 중앙정부의 확실한 판단을 받기 위해 자진 신고 신청을 진행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사고 후 인도 당국은 환경 규정 위반 사실이 적발될 경우 공장 면허가 취소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공장 폐쇄 요구하는 주민들의 시위도 간헐적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 7시 오전 3시쯤 인도 남부 안드라프라데시주 비사카파트남의 LG폴리머스인디아 공장에서 가스가 유출돼 8세 어린이를 포함해 주민 12명이 숨지고, 800∼1000명이 입원 치료를 받았다.
현재까지는 공장 안 탱크에 보관 중이던 스티렌 모노머(SM)에서 가스가 누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화학제품 원료로 쓰이는 고농도 스티렌에 노출되면 호흡곤란, 어지럼증, 구역질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실제 인도 매체 뉴인디언익스프레스의 이날 보도에 따르면 사고 피해자들은 PTSD, 우울증, 불면증 등을 호소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