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포스트 코로나’ 수산분야 대응계획 수립

입력 2020-05-12 15:05
물김 생산 모습. 연합

부산시가 한·일 어업협정 결렬에 이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파장이 겹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장기적 대책 마련에 나선다.

부산시는 지역 수산업계의 위기상황을 극복하고 수산업을 지속할 수 있는 전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포스트(POST) 코로나 수산분야 위기 대응 계획’을 수립했다고 12일 밝혔다. 특히 이번 대책은 정부의 ‘POST 코로나’ ‘한국판 뉴딜’ 정책과 연계 추진해 줄 것을 해양수산부에 건의했다.

시에 따르면 수산분야 위기 대응 계획은 내년부터 2030년까지 연 근해어업에 8012억원, 수산유통가공에 7921억원 등 총 1조5942억원 투입해 지역 수산업계 위기를 극복하는 액션 플랜이다.

부산지역 수산업계는 2016년 6월 한·일 어업협정 결렬 이후 외교적 갈등으로 타결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근해어업은 어장의 20% 정도를 잃었고 수산물 제조가공업 역시 자유무역협정(FTA) 이후 수입 수산물과의 가격 경쟁력에서 열세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

액션 플랜에는 근해업계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5000억원 규모의 회생 기금 마련, 현재 어선의 50% 정도를 감척하는 등 어업구조 개선비 5000억원 등의 내용을 담았다. 수산유통 가공식품 산업의 제2 도약을 위해 ‘R&D 및 기업지원’ 분야를 강화하고 내년부터 연간 100억원씩 2030년까지 1000억원 규모로 지원받아 창업을 지원한다. 또 기업의 적극적인 인수합병(M&A)도 지원한다.

위판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제수산물도매시장 시설 노후화 개선 비용 200억원과 저온위판장 조성비 등 500억원을 투입한다. 수산물 유통업계 지원을 위해 동남경제권 산지 거점 물류센터(사업비 1000억원) 건립도 추진한다.

한편 부산시는 수산업 어촌발전 2030 계획이 정부정책과 연계돼 잘 추진된다면 어업인 1인 소득은 3만 달러에서 6만 달러로, 수산산업 총매출액은 22조원에서 40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수산분야 경제 규모도 23억 달러에서 40억 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