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정부 “전화 안 받는 클럽 방문자, 카드·기지국 정보로 확인”

입력 2020-05-12 11:08 수정 2020-05-12 11:22
정부 “어제 진단검사 1만2000건 이상…이태원 관련이 7000여건”

정부가 이태원 클럽 방문자 중 연락이 닿지 않는 사람들을 찾기 위해 통신사 기지국 정보, CCTV, 카드 결제 내역 등을 확인한다.

신분 노출을 꺼리는 경우를 대비해 신상 노출 없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배려도 한다는 방침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는 각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전국 각 지역의 이태원 클럽 관련 환자 발생 현황과 방역 상황에 대해 논의했다고 12일 밝혔다.

서울시는 4월 24일에서 5월 6일까지 이태원 5개 클럽(킹, 트렁크, 퀸, 힘, 소호)에 방문한 5517명(출입자 명부, 5.11일 기준) 중 2405명에게 검사를 받도록 전화로 안내했고, 1130명에게 문자를 발송하였으며 전화를 받지 않는 1982명은 계속 확인 중이다.

경찰청은 전국적으로 구축한 8599명 규모의 신속대응팀을 활용해 이태원 클럽 출입자 중 카드 정보나 기지국 정보를 통해 소재가 확인되지 않는 사람을 확인할 예정이다.

또 업소별 신용카드 매출전표와 접촉자 명단을 확보하고 용산경찰서와 협업하여 CCTV 자료를 확인해 이태원 클럽 방문자를 지속 조사할 계획이다.

검사 대상 범위를 확대한 이후 하루 4000~5000건 수준이던 진단 검사가 어제 1만2000건 이상으로 증가(11일 4604건 → 12일 1만2398건)하였으며, 현재까지 이태원 클럽 등 유흥시설 방문자와 관련하여 7000여 건의 검사가 진행되고 있다.

서울시와 전라북도는 이태원 클럽 방문자가 신분 노출 우려 없이 조속하게 진단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검사 대상자가 원하는 경우 익명으로 진단검사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관내 유흥시설 집합을 제한하는 집합금지 행정명령을 발령해 이태원 클럽 사건과 같은 밀폐된 공간에서의 집단 감염 재발 방지에 나선다.

11일 기준 서울, 대구, 인천, 대전, 울산, 세종, 경기, 충북, 충남, 경남 등 총 10개 시·도에서 유흥시설 집합금지명령을 시행했다.

인천, 대전, 울산, 세종, 경기, 충북, 충남, 전북, 경남 등 총 9개 시·도는 감염검사 및 대인접촉금지 명령을 실행하고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행정명령 이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현장점검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며, 행정명령을 미이행할 경우 해당 시설을 고발하는 등 엄중하게 조치할 예정이다.

아울러 명령을 위반하여 영업하던 중 확진 환자가 발생하면 치료비 등 구상권을 청구하는 등 강력 조치를 시행할 계획이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