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코리안 스타일이다.” “과연 한국은 거짓과 날조의 나라.”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연)가 회계 투명성 논란에 휩싸였다는 소식에 일본 네티즌들도 비상한 관심을 쏟아냈다. 대체로 ‘반한 감정’에 기댄 조롱이 주를 이루는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관련 문제로 빌미를 줬다는 점에서 뼈아프다.
12일 일본 익명 커뮤니티 사이트 5채널에는 정의연과 정대협(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의연의 전신) 대표였던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당선인 관련 의혹 기사 여러 건이 번역돼 게재됐다. 각 게시물에 달린 수십여개의 댓글들이 일본 네티즌들의 높은 관심을 방증했다.
먼저 정의연의 후원금 사용이 불투명하다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의 폭로에 대해서는 “피해자인 척 일본을 먹잇감으로 여겨 온 이들의 자중지란(같은 편 사이에서 일어나는 혼란이나 난리)”이라는 식의 비난이 이어졌다. 일부 “한국 단체 내 자중지란이 있다고 한들 일본군에 의한 위안부 강제 연행이 없었다고 말한 순 없다”는 이성적인 의견도 있었다.
2015년 12·28 위안부 합의에 따라 일본이 10억엔을 지급했을 당시, 정의연 측에서 피해자 할머니들에게 지원금 1억원씩을 받지 말라고 종용했다는 기사에 대해서는 “할머니에게 기생했구나” “구걸 민족의 귀감이다” “일본군 위안부 상대로 장사를 한 것이냐” “역시 거짓말쟁이 민족” 등의 비난 댓글이 달렸다.
윤미향 당선인이 딸 유학비로 약 1억365억원을 지출했다는 보도에 대해서는 “거짓말투성이 조선인답다” “올해 최고의 한류 드라마다” “정대협의 피해자 비즈니스” “위안부 단체의 목적은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영원히 일본에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는 일”이라는 비아냥거림이 줄을 이었다.
정의연은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기부금 집행 투명성과 관련한 의혹을 해명했다. 정의연 측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간 기부수입 총 22억1900여만원 중 41%에 해당하는 9억1100여만원을 피해자 지원사업비로 집행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후원금을 전달하는 것만이 피해자 지원사업은 아니다”며 “피해자 지원사업은 건강치료지원, 인권·명예회복 활동 지원, 정기방문, 외출동행, 정서적 안정 지원, 쉼터 운영 등으로 수행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영수증의 세부 내용을 공개하라는 일부 언론의 요구에는 “우리도 인권이 있는 사람들인데 너무 가혹하다”고 반발하면서도 “연대하고 함께해준 분들에게 의도치 않게 상처를 드린 것 같아 최대한 공개적이고 투명하게 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윤미향 당선인 측은 딸의 유학자금을 간첩조작 사건으로 재심에서 일부 무죄를 받은 남편의 형사보상금 등으로 마련했다고 당에 소명했다. 남편 김모씨는 1994년 10월 이른바 ‘남매간첩단’ 사건으로 징역 4년에 자격정지 4년을 선고받았으나 재심 결과 일부 무죄가 인정돼 1억9000만원의 형사보상금과 8900만원의 손해배상금을 받았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