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지난 5월 2일 울주군 청량읍 동천리 미나리꽝에서 여름 희귀 철새인 ‘장다리물떼새’를 포착했다고 12일 밝혔다.
특히 이번 모니터링에서 ‘장다리물떼새’ 암수가 사이좋게 무논에서 걸어 다니면서 개구리, 올챙이, 소금쟁이, 지렁이 같은 곤충 등을 사냥하거나 교미를 하며 부리를 맞대고 인사하는 듯한 장면이 관찰됐다.
이는 단순 방문이 아니라 번식지로 선택할 만큼 울산의 생태환경이 만족스럽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다리물떼새는 1990년대까지는 동남아시아에서 올라오는 나그네새로 알려졌다.
하지만 1996년 천수만에서 30개체 이상 확인된 데 이어 1997년 천수만에서 처음으로 둥지가 발견되며 우리나라에서도 번식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올해는 제주도 서귀포, 대전 장남평야, 남해 설천면, 창원, 함양 등지를 찾아온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가늘고 긴 다리’라는 뜻을 갖고 있는 ‘장다리물떼새’는 다리 길이가 약 25cm 정도 되어 몸의 60%가 다리가 차지할 정도다.
핑크빛 다리가 매력적이며 부리는 검고 몸길이는 35〜51cm 정도이다. 몸통은 검은색, 윗면은 흰색으로 위아래가 대비된다. 수컷은 녹색 광택이 도는 검은색이고 암컷은 진한 갈색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장다리물떼새 이외 꼬마물떼새, 흰눈썹황금새, 물총새, 꾀꼬리 등 여름철새 도래 현황과 번식 환경 등에 대한 계속적인 모니터링 결과 울산 태화강, 동천, 회야강 주변 환경이 겨울과 여름 철새들이 번식하기 좋은 곳임이 확인되고 있다”라고 밝혔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