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구, 코로나 대응 위해 제작한 지리정보시스템 ‘효자노릇’

입력 2020-05-11 14:28
강북구 관계자가 지난 3월 관내 PC방 긴급 현장 방문을 위해 정책지도를 살펴보고 있다. 강북구 제공

서울 강북구(구청장 박겸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활동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제작한 ‘희망강북 맞춤형 정책지도’를 다방면에서 활용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지난 3월초 강북구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고 다중 이용시설에서 집단감염이 일어나자 구는 노래방·PC방 등 실내 밀집업소를 중심으로 긴급 현장점검과 방역활동에 나섰다. 하지만 정확한 위치파악에 많은 시간이 소요돼 어려움을 겪자 GIS(지리정보시스템) 도구를 이용한 정책지도를 제작하게 됐다.

구는 방문해야 할 시설자료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공간정보로 위치화해 도면형태로 관련 부서에 배포했다. 효과는 곧장 나타났다. 종교 및 체육시설, 위생업소와 같은 감염취약시설뿐 아니라 청년 소상공인 업체까지 수요부서의 정책지도 구축 요청이 빗발쳤다.

강북구 관계자는 “방역수칙 준수여부를 확인하고 소독활동을 위해 방문해야 할 PC방·노래방만 400개에 이르렀다. 특히 구릉지나 외진 곳에 위치한 교회가 많아 일반지도로는 찾아가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이어 “GIS 맞춤지도가 없었으면 업무 수행에 2~3배 이상 시간이 소요됐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책지도는 청년 상인과 취약계층을 동시에 지원하는 ‘청년 행복도시락’ 사업의 기초 자료로도 사용돼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바 있다. 현재 2600곳의 위치, 현황, 특성 등을 담은 154매의 정책지도가 사업 부서에 제공돼 정책 실행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박겸수 강북구청장은 “시간과의 싸움인 방역활동에 발 빠르게 대처하기 위한 고민에서 나온 결과가 공간 데이터 분석기술과 통합 지리정보 체계를 활용한 정책지도다”며 “빠르게 변화하는 행정수요와 공공정책에 맞춰 여러 형태의 맞춤형 빅 데이터 전략지도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