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금 용처 논란이 불거진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후원금을 전달하는 것만이 피해자 지원사업은 아니다”라며 기금 운용에 문제가 없었다고 해명했다.
정의연은 11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성산동 인권재단 사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은 기자회견 전 “지난 30년간 이 운동을 같이 해오며 가족같이 지내셨던 할머님의 서운함, 불안감, 분노를 겸허히 받아들인다”며 “할머니께 원치 않은 마음의 상처를 드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는 말씀을 드리겠다”고 말한 뒤 허리를 숙여 인사했다.
정의연 측은 기자회견에서 2017~2019년 3년간 기부수입 총 22억1900여만원 중 41%에 해당하는 9억1100여만원을 건강치료지원, 인권·명예회복 활동 지원 등 피해자지원사업비로 집행했다고 밝혔다. 정의연 측에 따르면 이같은 비용은 인건비를 포함하지 않은 비용이다.
정의연은 또 피해자들에게 2015년 박근혜 정부의 한·일 합의 당시 일본 정부가 출연한 10억엔을 받지 못하도록 했다는 의혹에 대해서 부인했다.
이상희 정의연 이사는 “화해·치유재단 기금의 수령 여부는 전적으로 할머니들이 결정했다. 할머니들을 일일이 방문해 의사를 확인했다”며 “할머니들에게 위로금을 수령하지 못하게 했다고 하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앞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92) 할머니는 지난 7일 대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정의연이 성금을 어디에 쓰는지도 모른다’고 주장해 파문이 일었다. 이에 정의연은 정의연은 ‘공시 절차를 통해 공개해왔다’는 내용의 입장문을 냈지만 관련 논란이 지속되자 이날 추가로 기자회견을 열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