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할머니 폭로 “윤미향이 지원금 1억 못 받게 했다”

입력 2020-05-11 10:19
윤미향 전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이 지난달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온라인으로 열린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제1434차 정기수요시위에 참석해 보라색 리본 배지를 들어보이고 있다. 뉴시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의 폭로로 촉발된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당선인 관련 의혹이 일파만파 번지고 있다.

윤 당선인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대표 시절 일본이 낸 지원금 수령을 원하는 위안부 피해자에게 이를 받지 말라고 종용했다는 증언까지 나왔다.

11일 중앙일보에 따르면 위안부 피해자 A할머니는 친필 서신을 통해 “(정부가) 일본 돈 10억엔을 받아와서 정신대 할머니들한테 1억원씩 줄 때 윤미향이 전화해서 ‘할머니 일본 돈 받지 마세요. 정대협 돈 생기면 우리가 줄게요’ 하면서 절대 받지 못하게 했다. 그런데 나는 억울해서 받아야 되겠다”고 주장했다.

A할머니 주장대로라면 위안부 합의가 피해자 중심주의에 어긋난다며 비판해 온 윤 당선인이 오히려 피해자의 자발적 의사와 선택권을 무시한 셈이 된다. 중앙일보가 입수한 편지는 총 2장으로, A할머니가 지난 3월 문희상 국회의장에게 쓴 것이다. 편지가 실제로 전달되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2015년 12·28 위안부 합의에 따라 일본은 2016년 정부 예산으로 10억엔을 거출했고, 정부는 화해·치유 재단을 출범해 피해자 지원에 나섰다.

윤 당선자에 대해 첫 폭로를 한 이용수 할머니는 “2015년 한일 협정 당시 10억엔이 일본에서 들어오는데 (윤미향) 대표만 알고 있었다. 피해자들은 그 사실을 알지 못했다”며 후원금 유용 의혹을 제기했다.

이후 윤 당선인은 지난 8일 페이스북에 올린 입장문에서 “정의기억연대의 활동과 회계 등은 정말 철저하게 관리하고 감사받고 보고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며 “모금 목적에 맞게 사업도 집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