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3일 고등학교 3학년부터 시작되는 등교 개학이 1~2주 미뤄질 수도 있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고3 등교 수업을 며칠 앞둔 상황에서 이태원 클럽 관련 감염이 발생해 선생님과 학부모님을 비롯한 많은 분이 우려가 깊다”며 “정부도 역학조사 결과 등을 바탕으로 위험성 정도 등 여러 사항을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 부총리는 “학생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며 “모든 위험 상황을 예의 주시하며 여러 가능성을 두고 신중히 판단하겠다”고 덧붙였다. 질병관리본부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시·도 교육청과 협의 중이라고도 했다.
한편 교육부에서는 화요일 전에는 방향을 발표해야 한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수요일인 13일 고3 개학이 시작되며 기숙사가 있는 학교의 경우 화요일부터 학생들의 입주가 시작된다.
다만 ‘어느정도 위험은 감수할 수 있다’는 박능후 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의 발언이 이날 나오며 학부모, 학생들의 우려도 가중되고 있다. 박 장관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생활과 방역을 동시에 병행한다고 했을 때에는 어느 정도 위험을 감수하겠다는 각오를 한 것”이라며 “완전 무결한 상태에서 등교를 개시한다거나 일상적인 사회생활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위험을 감수하겠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한편 예정대로라면 유치원 및 초·중·고등학교는 13일 고3을 시작으로 일주일 간격으로 등교 수업을 시작하게 된다. 20일에는 고2·중3·초1∼2·유치원, 27일에는 고1·중2·초3∼4, 내달 1일에는 중1과 초5∼6이 등교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지난 4일 브리핑을 열고 이런 등교수업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교육부 발표 사흘 뒤인 7일 ‘용인 66번 확진자’로 비롯된 확진자가 50명을 넘어서며 학생들의 등교 여부를 놓고 우려가 생겨나고 있다. 특히 지난 24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등교를 미뤄달라는 청원에는 이날 오후 9시쯤 15만4000여명이 동의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