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연 “금전 지급만 피해자 지원사업 아냐”

입력 2020-05-10 16:45 수정 2020-05-10 16:51
윤미향 전 정의기억연대 대표가 지난 1월 29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특실에 마련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에서 영정을 바라보고 있는 모습. 뉴시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92) 할머니의 ‘수요집회 불참 선언’ 이후 후원금 사용처 논란에 휩싸인 정의기억연대(옛 정대협·정의연)가 11일 오전 기자회견을 갖고 각종 의혹제기에 대한 정면돌파에 나설 예정이다.

정의연 관계자는 10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할머니와 정의기억연대의 대립, 그리고 성금 의혹은 현 상황의 본질이 아니다”라며 “회견을 열어 설명하는 자리를 갖겠다”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할머니들에 대한) 직접적인 금전 지원만 피해자 지원사업이 아니다”라며 “30년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과 동지적 관계에서 그분들의 목소리를 대변해온 단체로서 사실상 우리의 모든 활동이 지원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인 이용수 할머니가 7일 오후 대구시 남구 한 찻집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수요집회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며 관련단체를 비난하고 있다.

앞서 이 할머니는 지난 7일 대구 남구의 한 찻집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앞으로 수요집회에 불참하겠다”고 선언하면서 그동안 후원금이 할머니들을 위해 쓰이지 않았다는 취지로 정의연을 비판했다.

이에 정의연과 윤미향 전 이사장은 홈페이지와 SNS 등을 통해 “성금은 감사를 거쳐 투명하게 관리되고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정의연 관계자는 “내부감사와 외부 전문가의 세무 확인을 매년 받는다”며 “기부금품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에 의해 모금액의 사용이 끝난 뒤에도 회계법인의 감사를 받았다”고 밝혔다.

정의연은 의혹을 해소하겠다며 1992년과 1993년 각각 100만원과 250만원을 이 할머니에게 지급한 영수증도 공개했다. 또 2017년 말엔 일본정부의 ‘위로금’ 10억엔을 거부한 이 할머니에게 지급한 1억원에 대한 계좌 이체증도 내놨다.

국세청 공익법인공시에 따르면 정의연은 2018년 12억 3000만원, 2019년 8억 3000만원의 기부금을 모금했다. 이 중 피해자 지원사업 명목으로 지출한 금액은 2018년 2300만원, 2019년 2400만원 정도로 산술적으로는 피해자 할머니 1인당 각각 86만원과 106만원이 돌아간 셈이다. 앞서 2016년에는 30명의 할머니에게 1인당 9만원 가량이 돌아간 것으로 공시됐다.

정의연은 이 할머니의 기자회견 배경에 최용상 가자평화인권당 공동대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정의연은 11일 기자회견에서 이 부분에 대한 입장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최 대표는 “할머니가 기자들을 불러달라기에 심부름하는 심정으로 도왔을 뿐”이라며 “회견 내용 등에 대해 일체 몰랐다”고 반박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