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의 비례위성정당 미래한국당이 연동형 비례대표제 폐지 논의를 먼저 시작할 것을 주장했다. 모(母) 정당인 미래통합당과의 합당에 앞서 폐지 논의가 우선돼야 한다는 것이다. 정치권에서는 미래한국당이 독자 정당으로 생존하기 위한 명분 쌓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원유철 미래한국당 대표는 10일 페이스북 글을 통해 “뇌관을 제거하지 않고 지뢰밭을 건널 수 없다”며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폐지하지 않으면 비례 정당은 필연적으로 다시 나올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연동형 비례대표제 폐지 논의를 위한 ‘2+2 회담’도 제안했다.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와 김태년 원내대표, 미래한국당 주호영 원내대표, 원 대표가 만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하자는 취지다. 원 대표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범여권이) 비례정당을 만들 수밖에 없는 제도를 만들어놓고 합당하라, 비례정당 없애라는 등 주장을 하는 것은 앞뒤가 안 맞는 이야기”라고 강조했다.
당 일각에서는 미래한국당이 통합당을 탈당해 당선된 무소속 4명을 영입하거나 국민의당과 공동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하는 등의 시나리오가 거론된다. 미래한국당이 독자적인 교섭단체로 자리를 잡고 21대 국회 원 구성 협상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추천 문제, 국고보조금 배분 등에서 이득을 취하려는 것 아니냐는 시각이다.
그러나 원 대표는 독자 정당 구상에는 선을 그었다. 원 대표는 “국고보조금을 받아내기 위하거나 국회 상임위원장 자리를 얻어 내기 위해 단 1분도 논의한 적이 없는 정당이라는 것을 분명히 말한다”고 말했다. 원 대표는 21대 국회 개원 전인 이달 중 당선인 등의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칠 예정이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