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 비율 높다” 불평에도 또 술렁인 용산 부동산

입력 2020-05-10 16:22
정부가 지난 6일 서울 용산구 철도정비창 개발 계획을 밝히면서 용산구 일대 부동산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사진은 서울 용산역 철도정비창 모습. 뉴시스

정부가 ‘5·6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 방안’에서 서울 용산구 철도정비창 일대에 ‘미니 신도시급’ 주택·업무지구를 조성하겠다고 발표하자 용산 일대 부동산이 들썩이기 시작했다. 시장에서는 정부가 정비창 부지 개발에 너무 많은 공공임대 주택을 강요한다며 부정적인 인식이 컸는데, 막상 뚜껑을 열자마자 투기 열기가 치솟은 것이다. 정부는 용산 일대 부동산가격을 예의주시하며 투기 억제책을 고심하고 있다.

정부가 ‘5·6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 방안’ 발표 이후 주변 지역 가격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용산 정비창 부지 인근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는 등 투기 대응 방안을 시행할 계획인 것으로 10일 알려졌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대책 발표하는 과정에서 집값이 급등하는 지역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겠다고 이미 얘기를 했다는 것이지 아직 결정된 것 없다”면서도 “(용산지역 투기 가능성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공급대책이 발표된 지 채 일주일이 지나지 않아 인근 재개발 구역과 아파트 단지에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급매물이 회수되는 등 시장이 과열 조짐을 보이자 정부가 대책 마련을 고심하는 상황에 이른 것이다. 정부 공급계획이 밝혀진 후 시장 일각에서 임대 비율이 너무 높아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불평이 쏟아졌던 것과는 반대되는 현상이다.

서울 중심부 ‘금싸라기 땅’으로 분류되는 용산에 관심이 쏟아지는 건 당연하다는 반응도 나온다. 한강과 가깝고 강남·강북을 오가기도 편하다. 서울 지하철과 KTX, 신분당선이 오가 대중교통도 편하다. 고급주택단지로 거듭난 마포 지역과 묶여 가치를 높이기도 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국제업무지구로 언급됐을 만큼 입지가 좋은 지역인데 공공임대 비율이 높다고 가치가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용산은 2007년 오세훈 전 시장이 용산국제업무지구로 개발하려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20013년 무산됐다. 2018년에는 박원순 시장이 정비창 부지와 여의도를 묶어 개발하겠다는 ‘여의도·용산 통개발’ 구상을 밝혔다가 용산과 여의도 집값이 급등해 무기한 보류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용산 개발이 앞선 두 번처럼 좌초되진 않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크다. 고준석 동국대 법무대학원 겸임교수는 “앞선 개발 때는 용산 일대 개인 소유 땅과 단독주택, 아파트가 포함됐지만, 정비창 부지는 그런 것들이 포함되지 않아서 어려움은 적을 것 같다”며 “(토지거래허가구역 등) 주변 집값 단속 대책 제대로 세우면 가뭄에 단비 같은 공급대책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