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구 이태원 클럽에서 벌어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이 전국으로 확산될 우려가 커지자 정부는 수도권 지자체의 병상을 공동 활용하는 '병상공동대응체계'를 마련키로 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수도권 3개 지자체(서울·경기·인천) 합산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발생 규모에 따라 1∼4단계로 구분, 단계별로 공동 대응 체계를 가동한다고 9일 밝혔다.
하루 확진자가 100명 미만인 1단계(50명 미만), 2단계(50∼99명)인 경우에는 각 지자체가 기본적인 수요에 따라 거점전담병원과 공동생활치료센터를 지역별로 1∼3곳 지정해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100명 이상 발생하는 3단계(100∼999명), 4단계(1천명 이상)인 경우 협력 수준이 상향된다.
하루 확진자 100명 발생 시점부터 24시간 이내 지자체 공무원, 의료인, 방역당국으로 구성된 통합 환자분류반을 설치하고, 각 지역 중증도별 병상 현황을 파악해 환자의 병원을 배정한다.
또 기존의 지역별 거점전담병원을 수도권 협력병원으로 지정한다. 수도권 협력병원에는 인근 환자를 행정 경계와 관계없이 배정하고, 신속한 병상배정과 치료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정부는 이달 중 1·2단계에 해당하는 거점전담병원과 생활치료센터, 3·4단계에 해당하는 수도권 협력병원과 공동생활치료센터의 지정 계획을 수립해 지정해 나갈 예정이다.
구체적인 공동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실무협의체는 11일부터 구성·운영된다. 정부는 이달 내 3개 수도권 광역자치단체와 단계별 모의훈련을 거칠 예정이다.
또 이달 말부터는 수도권 모형을 토대로 충청권·호남권·경북권·경남권·제주권 등 전국 권역별 협력체계를 추가로 마련한다.
정석진 기자 jsjin@kmib.co.kr